대학생 6,006명 중 1,764명 공무원 시험 응시할 계획 있어

  • 등록 2022.01.07 17:43:19
크게보기

지난 6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발간한 코로나19, 비대면 산업동향과 대학생 취업인식 분석에 따르면 4년제 대학생 및 졸업생 응답자 6,006명 중 1,764(29.4%)이 공무원 시험에 응시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시험 응시 계획이 있는 수험생이 응시할 계획이 있는 공무원 시험 급수를 살펴보면 9급에 응시할 학생은 1,217(53.7%), 7급에 응시할 학생은 870(38.4%), 5급에 응시할 학생은 180(7.9%)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시험에 응시 계획이 있는 수험생이 공무원 시험에 응시하는 이유에 대해 8개 세부항목별로 살펴본 결과, ‘고용안정성 보장1,193(27.2%)으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그다음으로 급여 안정성 및 복리후생1,077(24.6%)으로 뒤를 이었다. 그 밖의 시험 응시 이유는 퇴직후 공무원연금제도’(757, 17.3%), ‘공무원으로서 적성과 소질, 소명의식 등’(459, 10.5%), ‘사회적 평판과 인식’(337, 7.7%), ‘정부의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237, 5.4%)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는 부모님이 원해서‘, 공기업 채용인원 감소, ’자기소개서를 안 써도 돼서등이 있었다.

 

한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016년부터 한국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대학생 취업인식 분석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2021년 이번 조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산업동향(디지털 헬스, 핀테크, 원격근무, 로봇, 블록체인,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을 소개하고, 4년제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 6,006명을 대상으로 취업 인식 동향을 조사하여 종합적 실태를 파악하고자 했다.

 

< 공무원 시험 응시 계획 >

구분

응답자

비율

공무원 시험 응시 계획

있다

1,764

29.4

없다

4,242

70.6

합계

6,006

100.0

 

< 공무원 시험 응시 급수 >

구분

응답자

비율

공무원 시험 응시 급수

5

180

7.9

7

870

38.4

9

1,217

53.7

합계

2,267

1000

 

< 공무원 시험 응시 이유 >

구분

 

 

공무원 시험 응시 이유

정부의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

237

4.4

고용안정성

1,193

27.2

급여 안정성 및 복리후생

1,077

24.6

퇴직 후 공무원연금제도

757

17.3

공무원으로서 적성/소질/소명의식

459

10.5

사회적 평판과 인식

337

7.7

민간기업에서 희망하는 일자리 부족

262

6.0

기타

59

1.3

합계

4,381

100.0

 

이민우 기자 studynews79@naver.com
Copyright @2016 수험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수험뉴스 서울특별시 동작구 보라매로5길 5 보라매우성아파트 발행인 : 이광우 | 편집인 : 이광우 | 이메일 : newsstudy@naver.com Copyright ©2016 수험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