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시험을 합격해야만 공무원이 될 수 있을까?

  • 등록 2022.05.01 16:43:27
크게보기

공무원 시험을 합격해야만 공무원이 될 수 있을까?, 공무원이 되는 다양한 채용 방식을 알아본다. 인사혁신처에는 다양한 공무원 채용 방식이 있다. 공무원 공개경쟁채용 (공채), 공무원 경력경쟁채용 (경채), 민간경력자 일괄채용 시험, 지역인재 추천채용제도 · 중증 장애인 경력 채용 그리고 개방형 직위가 있다. 공채시험 외에 다양한 공무원 입직경로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으로 공무원 시험이라고 생각하는 채용 방식이 공무원 공개경쟁채용(공채) 이다. 공무원 공개경쟁채용(공채)은 신규 공무원을 채용하는 제도로 균등한 기회 보장과 우수한 인력의 공무원 선발을 위한 채용 방식이다.

 

두 번째로 공무원 경력경쟁채용(경채)이 있다. 공개경쟁채용 시험에 의하여 충원이 곤란한 분야에 대하여 채용하는 제도로서 관련 직위의 우수 전문 인력 및 유경력자를 선발 제도로 경력이나 자격증 등 일정한 자격 요건을 갖춘 사람을 채용하는 시험이다. 민간 경력자 일괄 채용 (민경채)은 경력경쟁채용 시험의 한 종류이지만, 인사처에서 각 중앙부처의 소요를 취합해 일괄 시행하는 시험이라는 게 가장 큰 차이점이다.

 

다음으로 지역인재 추천채용제도 · 중증 장애인 경력 채용이 있다. 추천채용제도는 공직의 지역 대표성 제고 및 지역 균형 발전 등을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중증 장애인 경력 채용제도는 응시요건을 갖춘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는 제도로 정해진 근무경력, 학위, 자격증 등 응시요건 중 1개 이상을 충족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개방형 직위가 있다. 개방형 직위란 중앙부처 고위 공무원 단과 과장급 직위 중 전문성이 요구되는 주요 직위를 개방해 공직 내외부를 불문하고 공개경쟁을 거쳐 최적의 인재를 선발하는 제도이다. 임기 중 성과에 따라 연장이 가능하며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정년보장이 되는 일반직 공무원으로 임용될 수 있다.

박지영 기자 bizzajjh@naver.com
Copyright @2016 수험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수험뉴스 서울특별시 동작구 보라매로5길 5 보라매우성아파트 발행인 : 이광우 | 편집인 : 이광우 | 이메일 : newsstudy@naver.com Copyright ©2016 수험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