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올 4월 기준 공공부문 취업자 큰 폭 증가

  • 등록 2022.05.11 18:50:33
크게보기

4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80만명 넘게 늘면서 같은 달 기준으로 22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2807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달 대비 865000명 늘었다.

 

직접일자리 등 공공부문 취업자 증가가 큰 영향을 미쳤다. 직접일자리 및 의료·복지·돌봄 수요 일시적 확대 등으로 공공비중이 높은 공공행정·보건복지 취업자가 32만여 명 늘어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37.0%를 차지했다. 공공행정 취업자는 91000, 보건복지 취업자는 23만명 늘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132000명 증가했고, 서비스업은 비대면·보건복지 중심으로 604000명 늘었으나 대면서비스업은 코로나19 위기 전 수준을 밑돌았다. 농림 68000, 건설은 48000명 늘었다. 서비스업은 비대면 서비스, 보건복지업 중심으로 604000명 늘어 14개월 연속 증가했다. 제조업은 전월대비 증가세가 이어지며 132000명 늘어 6개월 연속 증가했다. 전문과학 5만명, 정보통신 89000, 운수창고 87000, 보건복지 23만 명 늘었다. 산업 구조조정 영향으로 감소세를 이어오던 제조업은 의료·바이오 등 신산업 생산·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6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숙박음식, 예술여가, 도소매 등 대면서비스업 고용은 21000명 늘어 방역조치 완화 등 영향으로 회복 중이나, 여전히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위기 이전(20201=100) 대비 숙박음식 90.9, 예술여가 94.0, 도소매 93.2이었다. 전문·과학, 정보통신, 운수창고 등 비대면·디지털 관련 서비스업 취업자 증가세는 지속되고 있으나, 증가폭은 지난 2월 이후 둔화됐다. 비대면 서비스는 225000명 증가했다. 농림어업은 지난 3월에 이어 소폭 조정됐으며, 건설은 철근 등 원자재 가격 인상·각종 분쟁(레미콘 운송 파업 등) 등 영향으로 전월대비 감소했다. 전월대비 농림 3000, 건설 19000명 줄었다.

 

연령대별로는 인구구조 변화, 직접일자리 등 영향으로 60세 이상 고령층 중심으로 취업자가 증가했다. 청년 186000, 3033000, 4015000, 50208000, 60세 이상은 424000명 늘었다.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60세 이상 고령층은 노인일자리 확대 영향까지 더해지며 전체 취업자 증가세를 주도했다. 30·40대는 최근 고용이 증가세로 전환되며 고용률이 상승했으나, 산업구조전환 등으로 40대 고용률은 위기 이전 수준을 밑돌았다.

 

상용직(고용계약 1년 이상), 전일제(36시간 이상) 중심으로 고용이 늘었으나, 일용직 어려움은 이어지고 단시간 근로 증가세도 계속됐다. 상용직은 929000명 늘어 견조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코로나 등 여파로 일용직은 117000명 줄어 감소세가 이어졌다. 전일제 근로자는 709000명 증가했으나, 거리두기 완화 등에 따른 단기알바 증가 및 노인일자리 확대 등으로 단시간 근로자(1~17시간 이하)709000명 늘어 증가세가 이어졌다.

 

일시휴직자(456000)54000명 늘어 코로나 확산세가 완화되면서 전달에 비해 증가폭이 감소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1%로 지난해 같은달 대비 1.7%p 올라 동월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다. 실업자 수는 864000명으로 전년보다 283000명 감소했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고용은 기저영향이 달마다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최근의 일시적 증가요인이 소멸하며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중국 봉쇄조치, 물가 상승세 지속 등 고용 하방요인이 상존하는 만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정부는 재정을 통한 일자리 창출은 지속가능하지 않은 만큼, 민간의 고용여력을 높이는데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산업구조 변화에도 선제 대응키로 했다. 신산업 육성, 규제혁파, 벤처·창업 활성화 등으로 민간일자리 창출 기반을 확충한다. 특히 체감 고용상황이 어려운 청년층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청년 맞춤형 고용지원서비스(직업훈련, 일경험, 취업지원서비스 등) 확대 및 산업 수요 맞춤형 청년인재양성 등을 적극 추진한다. 노동 유연성을 높이고 미스매치를 해소하는 등 노동시장 구조개혁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맞춤형 고용지원 서비스를 강화한다. 단시간·단순 일자리 위주인 정부노인일자리는 시장형 일자리 확대 등을 통해 내실화, 일자리 질을 높인다. 아울러 자영업자·소상공인, 일용직 등 고용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추경 등을 조속히 추진하기로 했다.

박지영 기자 bizzajjh@naver.com
Copyright @2016 수험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수험뉴스 서울특별시 동작구 보라매로5길 5 보라매우성아파트 발행인 : 이광우 | 편집인 : 이광우 | 이메일 : newsstudy@naver.com Copyright ©2016 수험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