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9 (일)

  • 맑음파주 -8.6℃
  • 맑음강릉 -2.3℃
  • 맑음서울 -4.9℃
  • 맑음인천 -4.6℃
  • 맑음수원 -4.7℃
  • 맑음대전 -3.2℃
  • 맑음대구 -2.9℃
  • 맑음울산 -2.5℃
  • 맑음광주 -2.0℃
  • 맑음부산 -0.8℃
  • 제주 2.6℃
기상청 제공

9급·7급·5급공무원

공무원 포상금도 과세대상?!

유권해석 혼란으로 공무원 4,800명 조세심판 청구

50년 이상 비과세로 운영돼 오던 공무원 포상금에 대해 최근 국세청과 상급기간인 기획재정부의 유권해석이 달라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다.

 

국회 김주영의원이 8국회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에게 공무원 포상금 과세 대상 여부와 관련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현장 혼란에 따른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국세청은 공무원이 받은 포상금은 소득세법에 따른 근로소득으로, 과세대상이라는 이유에서 올해 5월부터 지자체 공무원들에게 해당 기관으로부터 최근 5년간 수령한 포상금에 대한 소득세를 부과했다.

 

또한 국세청은 앞서 2011년과 2012년 그리고 올해 3월에도 공무원 포상금은 과세대상이라고 판단한 바 있다. 그러나 국세청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체 공무원에 대한 과세는 부과해 오지 않았다. 그러다 지난해 4포상금 소득신고 누락과 탈세여부에 대한 정보공개청구가 들어오자 소득세 부과에 나선 것이다.

 

그런데 기재부가 지난 9월 성남시의 질의에 포상금은 비과세되는 기타소득에 해당한다는 입장을 밝혀 기재부와 국세청이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낸 것이다.

 

현재 지자체 공무원 4,800여명은 국세청의 포상금 과세와 관련해 조세심판청구를 제기한 상태다. 국세청은 조세심판에 따른 행정낭비가 야기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조세심판의 결과를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다.

 

김주영 의원은 공무원 포상금과 관련해 50여년간 비과세 대상으로 운영돼 오던 관행을 하루아침에 바꾸는 것은 문제가 있다책임기관의 각기 다른 유권해석으로 사회적 혼란과 막대한 비용이 초래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김 의원은 사실상 사문화된 유권해석을 현실에 적용하려 할 때는 명확한 근거와 주체 간 협의 및 공감대가 필요함에도 국세청은 이를 외면했다고 지적하며, 홍남기 부총리에게 포상금 논란은 지방공무원을 넘어 전체 공무원의 문제로 번질 사안이라며 사회적 비용과 혼란이 가중되지 않도록 국세청과 협의를 통해 문제를 원만히 해결해 나갈 것을 주문했다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