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7 (토)

  • 구름조금파주 -3.1℃
  • 맑음강릉 1.5℃
  • 맑음서울 -1.1℃
  • 맑음인천 -0.9℃
  • 맑음수원 -0.9℃
  • 맑음대전 0.4℃
  • 구름조금대구 3.0℃
  • 맑음울산 2.4℃
  • 광주 2.0℃
  • 맑음부산 4.4℃
  • 제주 7.4℃
기상청 제공

9급·7급·5급공무원

민간경력자가 국가공무원으로 가는 길

국가공무원이 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특별한 학력·경력 등에 관계없이 모든 국민들에게 동일한 조건의 응시 기회를 부여하는 공개경쟁채용시험과 특수분야의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자격요건을 갖춘 지원자를 대상으로 경쟁을 통해 상대적으로 우수자를 선발하는 경력경쟁채용시험이다.

 

이 중 민간에서의 경력 등을 활용하여 국가공무원으로 되는 방법은 경력경쟁채용시험 중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시험에 도전하는 것이다. 인사혁신처는 많은 민간의 인재가 공직에 들어올 수 있도록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시험을 5급은 2011, 7급은 2015년에 도입하였다.

 

이 시험의 응시자격은 경력, 학위, 자격증요건 중 한 개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직급별로 자격요건의 내용이 차이가 나는데, 5급 공무원은 관련분야 경력 10년 또는 관리자 경력 3년 이상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석사학위 취득 후 경력4년 이상 공무원임용시험령에서 정한 자격증 취득 후 일정기간 근무자로 이 세가지 중 한가지 이상을 충족하면 된다.

 

7급 공무원은 관련분야 경력 3년 이상 관련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공무원임용시험령에서 정한 자격증 취득 후 일정기간 근무자로 5급보다 요건이 완화되어 있다.

 

일정한 요건을 갖췄다고 시험을 치르지 않고 선발되는 것은 아니다.

 

선발절차는 총 3단계로 진행되는데 1차 필기시험은 공직의 적격성을 평가하기 위해 공직적격성평가 시험이다. 2차 서류전형에서는 경력과 전문성을 평가하는 직무적격성심사를 한다. 마지막 3차는 면접시험으로 업무역량과 종합적 자질을 평가한다.

 

작년 한해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시험을 통해 총 186(566, 7120)이 합격하였다. 연령별로 2025, 30125, 4034, 502명으로, 20대 사회초년생의 합격 비율이 높은 공채와 달리 30대 합격자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료: 인사혁신처>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