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구름많음파주 9.1℃
  • 구름많음강릉 12.4℃
  • 구름많음서울 14.4℃
  • 구름많음인천 11.4℃
  • 구름많음수원 11.3℃
  • 구름많음대전 14.6℃
  • 구름많음대구 14.0℃
  • 박무울산 9.8℃
  • 구름많음광주 14.8℃
  • 흐림부산 12.3℃
  • 박무제주 14.1℃
기상청 제공

서울시 고시원 방 최소 7㎡이상, 창문 의무적 설치

오는 7월부터 새로 짓거나 증축되는 모든 고시원은 방마다 창문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서울시는 고시원 거주자의 인간다운 삶과 안전한 거주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서울특별시 건축 조례를 개정(2021.12.30.)했다.

 

조례에 따라 개별 방의 면적은 전용면적 7이상(화장실 포함시 9이상)을 확보하고, 방마다 창문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창문은 화재 등 유사시에 탈출이 가능하도록 유효 폭 0.5m×유효 높이 1m 이상 크기로 실외와 접해야 한다.

 

이번 조례 개정은 서울시의 건의로 개정·시행된 건축법 시행령에 따라 이뤄졌다. 시는 지난 20187명의 인명피해를 낸 종로구 국일 고시원 화재 이후, 고시원의 최소 주거기준마련을 위한 법 개정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했고, 국토부에서 이를 받아들여 작년 616건축법 시행령을 개정했다. 개정된 시행령은 다중생활시설(고시원)의 세부 건축기준을 조례로 정할 수 있도록 지자체에 위임하고 있다.

 

조례는 건축주 등 관계자가 준비기간을 가질 수 있도록 개정안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신축뿐 아니라 증축이나 수선, 용도변경 등 모든 건축행위 허가 신청시 적용된다.

 

건축법상 다중이용시설로 분류된 고시원은 그동안 최소 주거면적에 대한 별도의 기준이 없었다. ‘서울시 고시원 거처상태 및 거주 가구 실태조사’(한국도시연구소, 2020.4.)에 따르면 서울시내 고시원의 평균 주거면적은 7.2, 절반 이상(53%)7미만이었고, 화재 시 대피가 가능한 창문이 설치된 곳은 47.6%로 절반에 못 미쳤다.

 

고시원 거주자들은 생활환경 불편 요소와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요소 모두 비좁음을 가장 많이 응답했고, 공공에서 고시원 기준을 설정할 때 가장 필요한 것으로 방의 최소면적을 꼽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최약계층인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거주에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 기준 마련으로 고시원 거주자들의 거주 환경을 개선하고 화재 등으로부터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