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청년 구직자 취업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 구직자의 36.8%가 공공기관과 공무원에 취업하길 원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지난해 12월 2∼8일 20세에서 34세까지의 청년 구직자 500명을 대상으로 해당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취업 시 우선 고려사항으로 임금 및 복지수준, 고용안정성, 워라밸 및 기업문화, 성장가능성 및 비전, 기업 규모 및 인지도, 기업위치, 기타 등 7개 항목을 나열하였는데, 이중 37.6%의 응답자들이 임금 및 복지 수준을 취업 시 가장 먼저 고려한다고 응답했다. 취업 시 우선 고려사항으로 고용 안정성(21.7%), 워라밸 및 기업문화(20.5%) 라고 응답한 구직자도 다수였다. 희망연봉에 대해서는 3천만원에서 4천만원 사이의 연봉을 원하는 구직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중 39.6%인 198명이 해당 구간의 연봉을 희망했고, 2,200만원~3,000만원 28.4%, 4,000만원~5,000만원 15.8%, 5,000만원 이상 10.4%, 2,200만원 내외 5.8%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0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에 따르면 정부기관에서 공무원이 점유한 일자리는 139만 4천 개(65.6%)로 비공무원이 점유한 73만 3천 개(34.4%)의 1.9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일자리 비중은 공무원(95.5%)이 비공무원(68.0%)보다 높고, 신규채용일자리는 비공무원(32.0%)이 공무원(4.5%)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부기관 일자리 중 남자 일자리는 108만 1천 개(50.8%), 여자 일자리는 104만 6천 개(49.2%)를 차지했다. 공무원 일자리는 남자(58.2%)가 여자(41.8%)의 1.4배 수준, 비공무원 일자리는 여자(63.3%)가 남자(36.7%)의 1.7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부기관의 성별 일자리 분포> 정부기관의 일자리는 연령별로 40대(58만 2천 개), 30대(51만 1천 개), 50대(50만 5천 개) 등의 순으로 많이 점유했고, 공무원 일자리는 40대, 30대, 50대 순으로 많이 점유하고, 비공무원 일자리는 60세 이상, 50대, 40대 순으로 많이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기관의 연령별 일자리 분포(%)> 정부기관의 일자리는 근속기간 3년미만은 64만 개(30.1%),
지난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에 따르면 ’20년 공공부문 일자리 276만 6천 개로, 전년보다 16만 4천 개(6.3%) 증가했다. 일반정부 일자리는 237만 5천 개로 전년보다 15만 5천 개(7.0%) 증가했고, 공기업 일자리는 39만 1천 개로 전년보다 9천 개(2.3%) 증가했다 또, 총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10.2%로, 전년 9.5%에 비해 0.7%p 상승했고, 일반정부는 8.8%, 공기업은 1.4%로 전년보다 0.6%p, 0.04%p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정부 일자리를 세부영역별로 보면, 중앙정부는 85만 개(30.7%), 지방정부는 147만 7천 개(53.4%), 사회보장기금은 4만 8천 개(1.7%)로, 전년보다 중앙정부는 2만 7천 개(3.3%), 지방정부는 12만 5천 개(9.3%), 사회보장기금은 3천 개(6.3%) 각각 증가했다. 일자리 형태를 살펴보면, 전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는 238만 7천 개(86.3%), 이·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20만 6천 개(7.4%), 기업체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일자리는 17만 3천 개(6.3%)로 나타
지난 20일 서울시는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에서 근무할 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 채용시험 계획을 공고했다. 공고문에 따르면 이번 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 채용인원은 12명이며, 상수도 민원처리 분야로 채용될 예정이다. 근무기간은 2년이며 근무기간 연장이 필요한 경우 총 근무기간 5년 범위 내 연장이 가능하다. 응시원서 접수기간은 2022. 2. 3.(목)부터 2. 7.(월)일까지 3일간이며, 서울시상수도사업본부 2층 총무과로 방문접수만 가능하다.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는 2. 10.(목)일이며, 면접시험은 2. 16.(수)일 시행 예정이다. 최종합격자는 3. 21.(월)일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은 주당 25시간 범위내에서 주간근무(하루 7시간 주 5일 근무)를 하며, 보수 수준은 9급 상당 추정액에 주당 근무시간에 비례하여 책정된다. ▽ 임용분야 및 선발예정인원 임용분야 임용등급 임용인원 근무기간 (주당근무시간) 근무예정 부 서 담당직무 내용 상수도 민원처리 시간선택제 임기제마급 12명 2년 (주당35시간)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수도사업소 ○ 수도관련 전화민원 상담 및 고객지원 시스템 민원 접수처리 ○ 고객요청자료(수납 및 조정 내역서, 고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2021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결과를 발표하였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2007년부터 본 조사를 통해 매년 학교급별 진로교육의 전반적인 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이번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1년 학생 희망직업 조사 결과, 1~3위의 희망직업은 전년도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희망직업 1위는 예년과 마찬가지로 운동선수였고, 2위는 의사, 3위는 교사 순이었다. 중학생 희망직업 1위는 교사였고, 2위는 의사, 3위는 경찰관/수사관 순이었다. 고등학생 희망직업 1위는 교사, 2위는 간호사, 3위는 군인 순이었다. 한편, 온라인기반 산업의 증가로 코딩 프로그래머, 가상(증강)현실전문가 등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개발자 희망직업이 전년 대비 상승하였다. 또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직업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로봇공학자 등 신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6년간 중·고등학생의 희망 직업 업무내용 인지 수준은 지속적으로 상향되는 추세였으며, 최근 2~3년간 약 60%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데이터 정보를 언어처럼 읽고 해석하는 데이터 문해력에 대한 학습을 퀴즈 예능 형태로 선보인 온라인 실시간 특별강좌가 열린다.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원장 최창원, 이하 국가인재원)은 19일 공무원 및 공공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올해 첫 온라인 생중계 공개강좌인 ‘온세상 지식탐구생활, 안녕 가치들어요’를 개최한다. 이번 강좌의 주제는 ‘데이터 사고(思考)와 세대 간 소통’이다. 공직자의 데이터 역량을 높이고, 공직사회 세대 간 소통 활성화 등을 통해 바람직한 공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기획됐다. 유튜브 인재키움TV(https://www.youtube.com/c/nhikorea)를 통해 실시간 송출되며, 일반 국민도 참여할 수 있다. 교육은 공직자들의 데이터 역량을 진단하는 퀴즈와 전문가 특강, 세대 간 대화와 공감을 통해 업무 능률을 높이는 내용의 연극 관람 등으로 구성됐다. 퀴즈 콘텐츠 ‘데이터로 말해봐’는 진행자, 전문가, 공무원 6명이 출연해 이야기를 나누며 퀴즈를 풀어가는 예능 형태로 진행된다. ▲데이터 기반 행정 기본지식 및 질의응답 ▲데이터 문해력 역량 사전진단 및 조언(컨설팅) ▲데이터 해석‧활용 관련 퀴즈(개인, 팀 대항전) 등 총 3부로 구성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최근 대학생 1,112명을 대상으로 '2022년 공무원 시험 준비 현황'을 주제로 설문을 실시했다. 그 결과 대학생 10명 중 3명은 올해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고, 4명은 앞으로 준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올해 공무원 시험을 볼 계획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1,112명 중 329명이 ‘현재 공무원 시험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대답했는데, 이는 전체 응답자의 29.6%나 된다. 또한 493명이 ‘앞으로 공무원 시험을 준비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했고, 이는 전체 응답자의 44.3%를 차지한다. 이 둘을 합치면 전체 응답자의 73.9%가 공무원 시험에 뜻을 두고 있는 셈이다. 특히 사회과학계열 전공자들 사이에서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이들이 많았는데, 사회과학계열 전공자들 전체의 37.3%가 현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고, 47.7%가 앞으로 공무원시험을 준비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했다. 다음으로 △인문계열(34.3%) △이공자연계열(26.8%) △경상계열(27.0%) △예체능계열(21.0%) 순으로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에서 대학생들이 공무원이 되고 싶은 가장 큰 이유는 정년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