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최대 2시간까지 사용 가능한 공무원 육아시간의 대상 자녀가 기존 5세 이하에서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까지 대폭 확대된다. 저연차 청년 공무원의 연가일수도 현재보다 최대 3일 더 늘어난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이 같은 내용의 「국가공무원 복무규정」(대통령령)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다고 8일 밝혔다. 지난달 26일 발표한 ‘공무원 업무집중 여건 조성방안’의 일환으로, 생산적이고 육아 친화적인 공직 근무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시행되는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루 최대 2시간까지 사용 가능한 육아시간의 대상 자녀를 5세 이하에서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까지 확대한다. 사용기간도 총 24개월에서 36개월로 늘린다. 구 분 현 행 개 선 대상 5세 이하 자녀 8세 또는 초2 이하 자녀 기간 24개월간 36개월간 사용시간 1일 2시간 유급휴가 사용 (현행 동일) 입학 초기인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도 영유아기 못지않게 자녀 돌봄 수요가 높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육아시간 사용 대상과 기간을 대폭 확대한 것이다. 둘째, 재직기간이 1년 이상 4년 미만인 저연차 공무원의 연가일수를 현행 12~15일에서 15~16일로 확대한다
중앙부처에서 국제협력 사업을 총괄하는 부서장들이 한자리에 모여 해외 인재(외국인) 정보 확충 및 공직 유치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해외 인재 국가적 확충·활용 등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중앙행정기관 국제협력담당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국제 회의·행사 등 개최 빈도가 높은 부처 및 과학기술·국제통상 등 국제 사회와 긴밀한 공조가 필요한 분야의 업무를 수행하는 부처 국제협력 담당 부서장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인사처는 우수 인재의 정보를 수집·관리하는 국가 인물 정보관리체계인 ‘국가인재데이터베이스(국가인재DB)’를 설명하고, 해외 인재 정보 확충과 공직 유치에 활용을 위한 협업 사항 등을 공유했다. 이 자리에서 국제협력 담당 부서장들은 외국인이 참여하는 국제 회의·행사 등 국제협력 사업 현황과 부처에서 필요한 국제전문가 수요 상황 등을 공유하며, 향후 해외 우수 인재 확보 및 공유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특히 참석자들은 인사처에 해외 우수 인재 유치 부분에 대해 적극적인 발굴 및 추천·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김승호 인사처장은 “간담회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들이
다양한 현장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공무원들과 김승호 인사혁신처장이 직접 만나 인사제도 및 공직문화 개선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인사혁신처는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시험을 통해 입직한 행정안전부, 환경부 등 11개 부처 소속 공무원 12명을 초청해 공감․소통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방재안전, 수의, 약무 등 다양한 직무 분야에서 근무하는 민간경력 출신 공무원들이 참석해 다양한 공직생활 경험을 공유하고 ▲인사제도 ▲공직문화 혁신 ▲민간경력자 공직 채용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생각과 의견 등을 나눴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공직으로 이직한 이유, 공직 적응과정에서의 어려움, 본인이 실제 겪은 공직문화, 현재 공직생활에 만족하는 부분 등 사전에 녹화한 인터뷰 영상을 함께 시청한 참석자들은 자유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이어갔다. 참석자들은 “공직의 성장 가능성과 공익가치 실현, 안정성 등이 공직을 택하는데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했고, 입직 후에는 공직자로서 자긍심과 보람을 느끼며 만족스럽게 근무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공직적응 지원 ▲민간경력자를 위한 맞춤형 보직 관리 ▲복지·처우 개선 ▲조직문화
【 합격선 주요 현황 】 구분 최고 최저 주요 모집단위 합격선 5급 (행정) 84.16 (일반행정:경기) 70.83 (일반행정:충남·경북) 일반행정:전국 81.66 재경 81.66 5급 (과학기술) 76.66 (일반기계, 산림자원:전국, 시설조경) 60.00 (일반토목:전국·경기) 전기 62.50 통신기술 63.33 외교관후보자 80.00 (일반외교) - 2024년도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1차시험 합격자가 발표됐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지난 3월 2일 시행한 ‘2024년도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1차시험’의 합격자를 3일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를 통해 발표했다. 5급 공채 합격자는 2,126명(행정직 1,527명, 과학기술직 599명), 외교관후보자는 291명이 합격해 전체 합격자는 2,417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305명을 선발하는 5급 공채 제1차시험에는 모두 7,219명이 응시해 23.7: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가장 높은 합격선은 일반행정(경기) 84.16점이다. 5급 공채 1차 합격자는 남성 1,376명(64.7%), 여성 750명(35.3%)으로 집계 됐다. 행정직
단위(명,점) 번호 직렬(류) 임용예정기관 선발예정인원 출원인원 응시인원 필기합격인원 필기합격선 (가산포함평균) 총계 128 1,443 1,057 174 1 수의7급(수의) 소계 25 21 13 9 경기도 11 15 9 8 61.66 용인시 2 1 0 0 0 화성시 1 0 0 0 0 평택시 1 0 0 0 0 파주시 1 1 1 0 0 광명시 1 4 3 1 70 의왕시 1 0 0 0 0 포천시 2 0 0 0 0 양평군 2 0 0 0 0 여주시 1 0 0 0 0 가평군 1 0 0 0 0 연천군 1 0 0 0 0 2 식품위생9급 (식품위생) 소계 10 205 167 18 화성시 2 50 43 4 86.66 평택시 1 23 20 2 86.66 시흥시 2 47 34 3 93.33 안성시 1 7 7 2 71.66 의왕시 1 31 23 2 85 포천시 3 47 40 5 88.33 3 의료기술9급 (의료기술) :임상병리 소계 4 94 75 10 평택시 1 25 21 2 86.66 광주시 1 16 13 2 90 광명시 1 28 21 4 83.33 의왕시 1 25 20 2 90 4 의료기술9급 (의료기술) :방사선 소계 7 72 60 13 수원시 1 17 12
직렬명 임용기관 선발예정인원(명) 접수인원(명) 경쟁률 총합계 2,381 22,038 9.3 : 1 1 간호8급(간호) 소계 38 666 17.5 : 1 수원시 2 99 49.5 : 1 안양시 4 46 11.5 : 1 시흥시 2 58 29 : 1 광주시 5 56 11.2 : 1 광명시 3 58 19.3 : 1 군포시 5 83 16.6 : 1 양주시 2 74 37 : 1 이천시 2 26 13 : 1 안성시 3 23 7.7 : 1 구리시 1 33 33 : 1 포천시 2 32 16 : 1 양평군 3 31 10.3 : 1 여주시 1 11 11 : 1 가평군 1 6 6 : 1 연천군 2 30 15 : 1 2 간호8급(간호)(장애인) 소계 2 4 2 : 1 안양시 1 4 4 : 1 시흥시 1 0 - 3 보건진료8급(보건진료) 소계 12 196 16.3 : 1 화성시 1 20 20 : 1 평택시 3 51 17 : 1 이천시 1 18 18 : 1 안성시 3 32 10.7 : 1 포천시 2 36 18 : 1 가평군 1 16 16 : 1 연천군 1 23 23 : 1 4 보건진료8급(보건진료)(장애인) 소계 1 0 - 안성시 1 0 - 5 행정9급(일반행정) 소계 675 1
경찰청에서는 2023.9.1. 부산 목욕탕 화재사건 당시 경찰관이 화상을 입었음에도 간병비를 자비 부담한 안타까운 사연을 계기로 인사처와 협의를 통해 ‘공상 경찰관 간병비 등 치료비 현실화’ 등 지원제도를 개선하였다. 한편, 경찰청 차원에서도 공상경찰관 간병비 부담 경감 등 지원 강화를 위해 경찰병원 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상 확대를 추진하였다. 그간 경찰병원에서는 감염병 예방 및 중증 환자 진료 지원 등을 위해 2개 병동‧44병상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으로 운영해 왔으나, 중증 부상을 입은 모든 경찰관을 지원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간호사 등 인력 확보 및 시설 보강을 거쳐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으로 ‘65 안심병동(44병상)’을 추가 승인받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기존의 2배 수준인 총 88병상으로 확대하여 3월 28일(목)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경찰청 김수영 경무인사기획관은 3월 29일(금) 경찰병원을 방문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확대’ 운영과 관련하여 병원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간담회를 통해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와 함께, 신설된 간호‧간병 통합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