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제4회 경기도 지방공무원 경력경쟁임용시험 필기시험 합격선> 번호 직렬(류) 임용예정기관 선발예정인원 출원인원 응시인원 필기합격인원 필기합격선 (가산포함평균) 총계 21 182 106 28 1 농업연구사 (축산) 경기도 1 7 2 1 80 화성시 1 - - - - 2 녹지연구사 (임업) 경기도 2 14 12 3 73.33 3 해양수산연구사 (해양환경) 경기도 1 15 12 2 93.33 4 해양수산9급 (선박기관) 경기도 1 3 1 1 78.33 화성시 1 5 3 1 65 5 의료기술9급 (임상병리) 연천군 1 29 16 2 86.66 6 의료기술9급 (방사선) 시흥시 1 35 16 2 90 7 시설9급 (교통시설) 화성시 5 33 21 6 73.33 시흥시 2 10 7 2 66.66 오산시 1 7 3 1 61.66 의왕시 1 12 2 2 60 8 시설9급 (도시교통설계) 시흥시 2 9 8 3 63.33 오산시 1 3 3 2 65
지역사회 퇴직공무원들이 취약계층 발굴·보호·지원에 앞장서 지역사회 복지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취약계층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한다. 교육부·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는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전북·경북·부산 지자체,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와 ‘우리 동네 복지 시니어’ 사업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우리 동네 복지 시니어’ 사업은 지난 7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범사회부처 협업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이는 퇴직공무원들이 재직 때 보유한 복지 전문성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위기 상황이 예견되거나 어려움을 호소하는 지역주민을 방문·상담하고, 읍면동 복지 담당 공무원에게 제보하는 등 지역사회의 취약계층 사각지대를 발굴하는 제도다. 퇴직공무원들은 도움이 필요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개인·가구별맞춤형 복지정보를 안내하고, 복지신청서 작성을 돕는 등 취약계층을 보호·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전북 김제시, 경북 고령군, 부산 사하구 등 3개 기초지자체가 ‘우리 동네 복지 시니어’ 시범운영에 참여한다. 교육부·행안부·복지부는 사업 구성 및 운영에 필요한 제반 지원을 하고,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
<2023년도 제5회 경기도 경력경쟁임용시험(연구사,지도사, 7·9급) 원서접수 결과> 번호 직렬명 임용기관 선발예정인원(명) 접수인원(명) 경쟁률 총 계 68 984 14.5 : 1 1 보건연구사 (공중보건) 소계 3 141 47 : 1 경기도 3 141 47 : 1 2 환경연구사 (환경) 소계 8 142 17.8 : 1 경기도 8 142 17.8 : 1 3 농촌지도사 (농업) 소계 8 157 19.6 : 1 시흥시 2 57 28.5 : 1 광주시 2 61 30.5 : 1 가평군 1 12 12 : 1 연천군 3 27 9 : 1 4 수의7급 (수의) 소계 18 20 1.1 : 1 경기도 8 15 1.9 : 1 화성시 1 1 1 : 1 평택시 1 1 1 : 1 광주시 1 3 3 : 1 양평군 2 0 - 여주시 1 0 - 동두천시 2 0 - 가평군 1 0 - 연천군 1 0 - 5 환경9급 (수질) 소계 6 60 10 : 1 화성시 3 47 15.7 : 1 양평군 3 13 4.3 : 1 6 환경9급 (대기) 소계 9 52 5.8 : 1 화성시 4 17 4.3 : 1 의왕시 2 26 13 : 1 양평군 3 9 3 : 1 7 환경9급 (폐기물) 소계 6 4
통계‧치안‧정보통신 분야 연구직 공무원을 채용할 수 있도록 관련 직렬‧직류가 신설된다. 미래 핵심기술인 반도체, 배터리, 양자기술 분야 전공자들을 연구직공무원으로 임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직 및 지도직공무원의 임용 등에 관한 규정」 및 「전문직공무원 인사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르면 올 연말 시행될 예정으로, 공직사회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직공무원에 통계연구직렬, 치안관리직류, 정보통신직류를 신설하고 임용시험과목, 시험 응시자격 등 채용요건을 마련한다. 현재는 통계‧치안‧정보통신 분야 연구직렬(류)가 없어 해당 분야 연구 전문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수요가 증가하는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 연구인력을 확보해 전문성을 제고하고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반도체, 배터리, 양자기술 분야 전공을 관련 직렬(류) 연구직공무원 경력채용 시 응시가능 전공에 추가한다. 미래 핵심기술 분야 전공자들을 연구직공무원으로 임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각각 공업연구직렬의 전기·
< 일반직공무원(과학기술·행정·기능직군) 계급별 승진소요최저연수 > 9→8급 8→7급 7→6급 6→5급 5→4급 4→3급 계 현 행 1년 6월 2년 2년 3년 6월 4년 3년 16년 개 선 1년(-6월) 1년(-1년) 1년(-1년) 2년(-1년6월) 3년(-1년) 3년 11년 다자녀 양육자는 퇴직 후 10년까지 공무원 경력직 응시가 가능해진다. 일반 공무원은 근무 연차가 짧더라도 승진할 수 있도록 승진소요최저연수가 대폭 단축된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다자녀 양육자에 대한 채용·승진 등 인사상 우대 근거를 마련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공무원임용령」 개정안을 입법예고 했다고 16일 밝혔다. 인사처가 추진 중인 ‘부처 인사 유연성·자율성 제고 종합계획’ 과제를 이행하고 범정부 차원의 저출산 위기 극복 노력에 동참하기 위한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자녀 양육자에 대한 공무원 경력채용 시 경력인정 요건을 완화하고, 승진 우대 근거를 마련한다. 현재 경력채용의 경우, 퇴직 후 3년 이내여야만 응시할 수 있으나 2명 이상의 미성년 자녀를 양육 중인 사람은 출산·양육으로 인한 경력단절기간을 감안해 퇴직 후 10년까지 응시할 수 있
<재직기간별 공무원 퇴직자 현황(2018~2022년)>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1년 미만 951 1,769 1,610 2,723 3,123 1년 이상 3년 미만 2,092 2,330 4,328 4,739 5,369 3년 이상 5년 미만 2,627 2,564 3,320 3,231 4,829 5년 이상 10년 미만 1,436 1,442 2,077 2,264 3,011 10년 이상 20년 미만 1,857 1,663 2,134 2,398 3,080 20년 이상 28,747 30,013 33,850 29,321 35,581 합계 37,710 39,781 47,319 44,676 54,993 최근 저연차·2030 공무원들의 퇴직이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에게 공무원연금공단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951명이었던 재직기간 1년 미만 퇴직자는 2022년 3,123명으로 3.2배 증가했다. 군인을 제외한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 교육공무원,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등, 일반 경력직, 임기제, 별정직, 개방형 직위 포함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951명, 201
윤석열 정부의 공무원 정원 동결 방침 이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에 합격하고도 제때 임용되지 못한 채 대기 중인 전국 임용대기자가 2857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길게는 1년 동안 공무원 자리가 나기만을 기다리며 아르바이트나 실무수습으로 생계를 지탱하고 있는 실정이다. 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이 행정안전부에 제출받은 ‘지방공무원 임용대기자 현황’에 따르면 올해 9월 14일 기준 지방공무원 임용대기자는 전국 시·도와 시·군·구를 합쳐 2,857명에 달한다. 7급 합격자는 288명, 9급 합격자가 2,629명이다. 3천 명에 가까운 사회초년생이 많게는 12개월까지 공무원 정원이 나오길 기다리며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는 얘기다. 시도별로 보면 부산광역시가 공무원시험 합격자 858명이 임용대기하고 있는 걸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뒤로 서울특별시 645명, 경기도 434명, 대구광역시 318명, 광주광역시 158명, 인천광역시 140명 순으로 이어졌다. 전라북도(86명), 울산광역시(75명), 충청북도(73명), 경상남도(38명), 전라남도(32명)에도 임용대기 중인 합격자가 쌓여있다. 지자체들은 대표적인 임용대기 사유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