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급 공개경쟁채용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1차시험이 오는 3월 4일 전국 5개 지역에서 일제히 치러진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2023년도 5급 공채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1차시험’을 다음 달 4일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전국 5개 지역에서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지난달 28~30일 응시원서를 접수한 결과, 총 350명 선발에 1만2,356명이 지원해 평균 35.3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모집 직군별 경쟁률은 5급 행정직군 41.1대1, 5급 기술직군 22.2대1, 외교관후보자 33.6대1로 각각 나타났다. 디지털기반(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해 올해 5급 공채에서 처음으로 선발(4명)하는 데이터직에는 93명이 지원해 23.3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가장 높은 경쟁률은 검찰직으로 2명 선발에 297명이 지원해 148.5대1로 집계됐다. 출원자의 평균 연령은 28.7세로 지난해(28.0세)보다 약간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20~29세 8,311명(67.3%), 30~39세 3,191명(25.8%), 40~49세 764명(6.2%), 50세 이상은 90명(0.7%)이다. 여성 비율은 45.5%로 지난해(47.3%)에 비해 다소 낮아졌다
대구광역시, 2023년도 지방공무원 422명 채용 □ 선발예정인원 시험명 직렬(직류) 직급 선발예정 인원 총 계 422명 제1회 임용 시험 (4.22.) 소 계 17명 경력 경쟁 수의직(수의) 7급 7명 보건연구직(공중보건) 연구사 3명 환경연구직(환경) 연구사 7명 제2회 임용 시험 (6.10.) 소 계 367명 공개경쟁 행정직 (일반행정) 일 반 9급 220명 저소득층 8명 장애인 14명 세무직(지방세) 9급 10명 전산직(전산) 9급 11명 사회복지직 (사회복지) 일 반 9급 18명 장애인 2명 속기직(속기) 9급 1명 공업직(일반기계) 9급 9명 공업직(일반전기) 9급 21명 농업직(일반농업) 9급 6명 농업직(축산) 9급 4명 녹지직(산림자원) 9급 4명 보건진료직(보건진료) 8급 2명 환경직(일반환경) 9급 4명 시설직(일반토목) 9급 18명 방송통신직(통신기술) 9급 13명 경력경쟁 의료기술직 (의료기술) 임상병리 9급 1명 치과위생 1명 시험명 직렬(직류) 직급 선발예정 인원 제3회 임용 시험 (10.28.) 소 계 38명 공개경쟁 행정직(일반행정) 7급 12명 경력경쟁 운전직(운전) 일 반 9급 13명 보훈청 추천 3명 수의연구직(수의) 연구
1 채용예정분야 및 인원 시 험 명 구분 선발예정인원 8급 공개경쟁채용시험 행정 일반 17 명 장애 2 명 ※ 선발예정인원은 기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최종합격자의 근무예정기관은 국회사무처, 국회도서관, 국회예산정책처, 국회입법조사처입니다. 2 시험과목 구 분 시 험 과 목 필기시험 1교시(85분) : 국어·헌법·경제학 2교시(85분) : 영어·행정법·행정학 [각 과목 5지선다 25문항(170분)] 면접시험 추 후 공 고 3 응시원서 접수기간 및 시험일정 응시원서접수기간 구분 시험장소공고일 시험일 합격자 발표일 2023. 2. 14.(화) 09:30 ≀ 2023. 2. 21.(화) 17:00 필기시험 4. 14.(금) 4. 22.(토) 5. 15.(월) 면접시험 5. 15.(월) 6. 12.(월)~6. 13.(화) 6. 16.(금) ※ 필기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상기 일정 외에 인·적성 검사 일정이 별도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 응시원서 접수취소는 원서접수 기간에만 가능합니다. ※ 상기 일정은 기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시험장소․합격자 명단 및 시험성적 안내 등에 관한 내용은 국회채용시스템(http://gosi.assembly.g
대전광역시, 2023년도 지방공무원 292명 채용 □ 선발예정인원 구 분 직 렬 직 류 직급 선발예정 인원 총 계 292 제1회 (6.10.) 소계(21개 직류) 258 공개 경쟁 행정직 일반행정(일 반) 9급 94 일반행정(장애인) 11 일반행정(저소득) 7 세무직 지방세 9급 8 전산직 전 산 9급 6 사회복지직 사회복지(일 반) 9급 17 사회복지(장애인) 9급 2 사회복지(저소득) 9급 1 사서직 사 서 9급 5 공업직 일반기계 9급 10 일반전기 9급 14 일반화공 9급 2 농업직 일반농업 9급 4 축 산 9급 2 녹지직 산림자원 9급 9 조경 9급 4 보건직 보 건 9급 4 간호직 간호 8급 8 환경직 일반환경 9급 7 시설직 일반토목 9급 7 건 축 9급 12 지적 9급 3 방송통신직 통신기술 9급 8 경력 경쟁 운전직 운전 9급 11 의료기술직 의료기술(임상병리사) 9급 1 의료기술(방사선사) 9급 1 구 분 직 렬 직 류 직급 선발예정 인원 제2회 (10.28.) 소계(10개 직류) 34 공개 경쟁 행정직 일반행정 7급 5 경력 경쟁 수의직 수의 7급 2 수의연구직 수 의 연구사 4 보건연구직 공중보건 연구사 5 4 환경연구직 환 경 연
2023년도 제2‧3‧4회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1,100명 선발 예정 □ 선발예정 인원 구분 시험종류 직급 직렬 직류 선발예정 총 계 1,100 제2회 소 계 5 경력경쟁 임용시험 연구사 학예연구 학예일반 3 기록연구 기록관리 2 제3회 소 계 981 공개경쟁 임용시험 8급 간호 간호 26 보건진료 보건진료 5 9급 행정 일반행정(일반) 410 일반행정(장애) 56 일반행정(저소득) 19 세무 방세(일반) 25 지방세(장애) 2 지방세(저소득) 2 전산 전산(일반) 12 전산(장애) 2 사회복지 사회복지(일반) 52 사회복지(장애) 16 사회복지(저소득) 3 사서 사서(일반) 12 사서(장애) 1 속기 속기 1 공업 일반기계 15 일반전기 18 일반화공 8 농업 일반농업(일반) 25 일반농업(장애) 6 일반농업(저소득) 4 축산 6 녹지 산림자원 19 조경 7 해양수산 일반수산 2 보건 보건(일반) 15 보건(장애) 1 의료기술 임상병리 2 방사선 6 물리치료 2 치과위생 9 환경 일반환경 32 시설 도시계획 2 일반토목(일반) 72 일반토목(저소득) 3 건축 61 지적 10 방재안전 2 통신기술 10 제4회 소계 114 공개경쟁 임용시험 7급 행정 일반행정
2023년도 전라남도 지방공무원 1,363명 선발 □ 선발예정 인원 구분 직급 직렬 직류 선발예정 인원 계 28개 1.175명 제2회 공개경쟁 임용시험 8급 간호 간호 38 보건진료 보건진료 19 9급 행정 일반행정 353 일반행정(저소득) 28 일반행정(장애인) 125 세무 지방세 25 지방세(장애인) 4 사회복지 사회복지 68 사회복지(저소득) 5 사회복지(장애인) 29 전산 전산 20 전산(장애인) 5 사서 사서 9 사서(장애인) 3 속기 속기 1 공업 일반기계 16 일반전기 21 원자력 2 일반화공 8 농업 일반농업 46 일반농업(장애인) 3 축산 18 녹지 산림자원 17 산림보호 1 해양수산 알빈수산 9 일반해양 4 보건 보건 31 보건(장애인) 7 식품위생 식품위생 8 환경 일반환경 26 시설 도시계획 13 일반토복 122 건축 56 지적 8 디자인 2 방재안전 방재안전 9 방송통신 통신기술 16 계 8개 94명 제3회 경력경쟁 임용시험 9급 녹지 조경 2 해양수산 선박항해 2 선박기관 1 보건 보건 15 의료기술 물리치료사 8 임상병리사 8 방사선사 6 치과위생사 3 임상심리사 3 환경 수질(정수시설) 15 대기 1 운전 운전 7 건설기계조종면허
울산시가 올해 지방공무원 159명(공개경쟁 147명, 경력경쟁 12명)을 신규 채용한다. 지난해 선발인원(575명)에 비해 416명(72%)이 감소한 수치로 최근 10년간 채용 규모는 연평균 360명 수준이었으나, 지난 2012년 137명 선발 이후 100명대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신규 행정수요를 증원보다 기존인력의 재배치해 그간 행정 인력증가*에 따른 재정부담과 행정 비효율 개선으로 ‘작고 효율적인 지방정부'로 탈바꿈하기 위한 민선 8기 울산시의 시정 운영 방침에 따른 것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퇴직 등 결원 발생에 따른 업무 공백은 최소화하되, 정부의 지방인력관리 방향에 따른 5년간 기준인력 동결,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급증했던 휴직 감소 전망 등을 고려해 채용인원을 결정했다.”라고 말했다. 올해 분야별 모집 정원은 행정직군(행정·세무·전산·사회복지·사서·속기) 68명, 기술직군(공업·농업·녹지·수의·보건·의료기술·간호·환경·시설·방송통신·운전) 91명이며, 직급별로는 7급(수의) 2명, 8급(간호) 1명, 9급(행정직 등 15개 직렬) 156명이다. 장애인과 저소득층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직진출 확대를 위해 장애인 6명(전체의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