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무원 9급 원서접수 결과 경쟁률이 지역별로 모두 공개된 가운데, 올해부터 동일 날짜에 시행하는 시험에 중복 또는 복수지원이 금지되어 서울시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2021년도 제1회 서울시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의 평균 경쟁률 11.1대 1을 기록해 지난해(18.1:1) 대비 크게 떨어졌다. 경채 433명 포함 3,246명 선발예정에 총 35,931명이 출원했고 이중 여성은 21,155명(58.88%)으로 나타났다. 직군별로는 행정직군이 12.0대 1로 기술직군( 9.6:1)보다 다소 높았다. 공개경쟁 행정직군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직렬은 59.0대 1의 속기직이며, 다음으로 전산(31.4:1), 방호(28.7:1), 세무(23.0:1), 일반행정(14.3:1), 사회복지(6.4:1) 순이다. 공개경쟁 기술직군에서는 시설관리가 24.9대 1로 가장 높았고, 일반농업(18.2:1), 보건(16.8:1), 전기시설(16.0:1), 조경(14.0:1), 일반화공(13.3:1), 일반환경(13.2:1), 기계시설(10.1:1) 등도 두자리 수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한편, 필기시험 합격자는 7월 14일(월)에 발표할 예정이며, 인성검사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선발 필기시험일이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코로나19 감염병 관련 사전 안내가 공지됐다. 시험장은 방역 및 수험생 위생관리를 위해 08:00부터 출입이 가능하며, 출입 전 반드시 손소독제로 손을 소독 후, 발열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때 발열(37.5도 이상) 또는 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증상자는 별도의 시험실에서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시험실 안팎에서 불필요한 대화를 자제하고, 대기시간 등에도 다른 수험생과 1.5m 이상 거리를 확보하는 것을 권고한다. 시험장 내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올바르게 착용하며, 시험시작 후 시험감독관이 실시하는 본인 확인 시에만 마스크를 잠깐 내릴 수 있다. 또 수험생 개인이 사용한 휴지, 마스트 등은 시험장에 버리지 말고 다시 가져가야 한다. 퇴실 시에는 수험생 밀집으로 인한 감염예방을 위해 저층부터 순차적으로 퇴실할 예정으로, 시험 종료 후 감독관의 안내에 따라 대기해야 한다. 한편 지난해와 달리 코로나19 확진자·자가격리자도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확진자 등 방역당국 관리대상자 중 시험 응시를 원하는 수험생은 사전에 지정된 별도의 장소에서 응시하게 된다. 또 코로나19 감염증상이 있는 수험생 및 단순
다음달 17일에 치러지는 2021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이 17개 광역시·도 중 일부 지역의 시험장소 예정지가 변경됐다. 수험생들이 응시원서 접수 시 선택한 18개 지역 중 경기도(북부)와 전라북도 지역의 시험장소 예정지가 각 1개씩 추가된다. 시험장소 예정지가 두 곳 이상인 지역을 시험장소로 선택한 경우, 해당 지역의 시험장소 예정지 다수 중 무작위로 배정된다. 이에 따라 경기도(북부)를 선택한 응시자들은 기존 시험장소 예정지인 고양시, 구리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파주시 외 추가로 포천시를 시험장소로 배정 받을 수 있다. 또 전라북도를 선택한 응시자 역시 기존 전주시, 익산시 외에 추가로 완주군을 시험장소로 배정될 수 있다. 이는 코로나19 등의 사유로 학교를 임차하기 불가능해 기타 지역을 추가한 것으로 밝혔다. 한편 원서접수시 선택한 응시지역 변경은 불가하며, 정확한 지역별 필기시험 장소는 4.9.(금)에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공고할 예정이다.
6월 5일(토)에 전국 동시 시행하는 지방공무원 9급 공개채용 임용시험의 원서접수가 3.29.(월) 09:00부터 4.2.(금) 18:00까지 5일간 진행된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3.2.(화)~3.5.(금) 기간동안 응시원서 접수를 마무리해, 이번 접수기간에는 나머지 16개 지자체만 응시할 수 있다. 또 올해부터는 동일 날짜에 시행하는 임용시험에는 중복 또는 복수로 원서를 접수할 수 없어, 이미 서울지역에 접수 완료한 응시자는 추가로 다른 지역에 지원할 수 없다. 다만 지방자치단체 인터넷원서접수센터 공지에 따르면 교육청에서 시행하는 임용시험은 지방공무원 임용시험과 중복접수 제한 대상이 아니다. 지방직 공무원 선발 시험은 서울을 제외한 모든 지역은 거주지 제한이 적용된다. 따라서 2021년도 1월 1일 이전부터 해당 시험의 최종시험(면접시험) 시행 예정일까지 계속하여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응시 지역 내로 되어 있는 사람 또는 2021년 1월 1일 이전까지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응시 지역 내로 되어 있는 기간이 모두 합산하여 총 3년 이상인 사람이어야 한다. 응시원서는 해당 기간에 지방자치단체 인터넷원서접수센터에서 인터넷으로만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 기간 중에는
우정9급(계리) 공무원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이 3월 20일(토) 전국 74개 시험장에서 철저한 방역대책 아래 진행됐다. 채용시험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시험 방역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전·사후 시험장 방역소독 실시, 감독관 및 응시자 마스크 착용 의무화, 시험 당일 발열체크 및 유증상자 별도 시험실 운영 등 방역지침을 철저히 준수했다. 특히, 시험실별 수용인원을 예년(25~30명)의 절반 수준인 15명으로 줄여 응시생간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했다. 이번 필기시험 65.9% 응시율을 기록했다. 출원자 2만4,364명 가운데 1만6,046명이 시험을 치러 ’19년 공채시험(59.4%) 보다 6.5%포인트 상승했다. 총 선발인원은 331명으로 실질 경쟁률은 48.5대 1로 나타났다. 우정사업본부는 3월 20일(토) 18시 홈페이지에 가답안을 게시했으며, 3월 24일(수) 18시까지 이의제기를 할 수 있다. 필기시험 합격자는 오는 4월 27일에 각 지방우정청 홈페이지 채용공고란 또는 인터넷원서접수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면접시험(5. 29.)을 거쳐 6월 4일 최종합격자를 발표한다.
지난 2월 27일 치러진 법원직 9급 공채선발 필기시험의 합격자 명단이 발표됐다. 선발예정인원(317명)의 1.04배수인 329명이 합격한 가운데, 모집분야별로 ▲법원사무 일반 293명(동점자 29명) ▲법원사무 장애인 6명 ▲법원사무 저소득 3명 ▲등기사무 일반 22명(동점자 3명) ▲등기사무 장애인 3명 ▲등기사무 저소득 2명이 합격했다. 이번 필기시험의 합격선은 법원사무(일반)은 81점이며, 등기사무(일반)은 74점으로 기록됐다. 법원사무(일반)직렬 합격자 평균 점수는 84.53점이며, 과목별 평균점수는 ▲헌법 89.03 ▲국어 79.28 ▲한국사 87.24 ▲영어78.07 ▲민법 86.35 ▲민사소송법 85.48 ▲형법 88.98점 이다. 등기시무(일반)직렬 합격자 평균 점수는 법원사무보다 낮은 78.23점으로 나타났고, 과목별 평균점수는 ▲헌법 84.55 ▲국어 71.09 ▲한국사 82.34 ▲ 영어 64.91 ▲민법 81.64 ▲민사소송법 75.09 ▲상법 84.36 ▲부동산등기법 81.82점으로 기록됐다. 필기시험 합격자 중 여성은 지난해(60.96%)보다 7.43%p 높아진 68.39%(225명)이며, 학력별 인원은 고졸이하 6명, 대학교 30
다음달 17일 치러지는 2021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 원서접수 결과, 경쟁률이 지난해(37.2:1)보다 다소 낮은 35대 1을 기록했다. 올해 국가직 9급 공개경쟁선발시험에는 지난해(185,203명)보다 12,907명이 더 많은 총198,110명이 지원했지만, 선발예정인원(5,662명)이 지난해(4,985명)보다 늘어나 경쟁률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직은 4,951명 선발에 총 171,071명이 출원하여 평균 34.6대 1을, 기술직은 711명 선발에 27,039명이 원서를 접수해 평균 38대 1을 기록했다. 응시원서 접수인원 중 여성 지원자는 114,115명(57.6%)이고, 남성 지원자는 83,995명(42.4%)으로 여성의 비율이 더 높았다. 지원자들의 평균 연령은 29.2세로 지난해(29.1세)와 비슷했고, 연령별로 20~29세가 61.4%(121,533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0~39세 30.6%(60,592명), 40~49세 6.5%(12,955명), 18~19세 0.8%(1,598명), 50세 이상 0.7%(1,432명) 순이다. 행정직(일반)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직(렬)류는 교육행정(282.2:1)이며, 출입국
서울시교육청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9급 기술직 공무원 22명을 신규 선발한다. 선발인원은 직렬별로 공업(일반전기) 1명, 시설(건축) 1명, 시설관리 20명이며, 이는 지난해 선발인원(공업·시설 9명)의 2.4배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특히, 전국 시·도교육청 중 최초로 학교 현장에서 시설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시설관리직렬 공무원에 고졸자 채용을 시행하여 선발 규모를 확대했다. 이는 기술계고 직업교육 및 취업 지원을 담당하는 교육청이 해당 학교 졸업자에게 직업교육을 통해 취득한 전문기술 활용 가능한 공직 임용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술직군 공무원 중 다수인 시설관리직렬까지 채용을 확대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채용 효과를 제고했다. 응시대상은 학교장 추천을 받은 서울시 소재 특성화·마이스터고등학교 졸업자 및 2022년 2월 졸업 예정인 재학생으로 졸업자의 경우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사람 또는 대학 중퇴자에 한해 응시가 가능하다. 선발 직렬별 필기시험 과목은 ▲공업(일반전기)는 물리, 전기이론, 전기기기 ▲시설(건축)은 물리, 건축계획, 건축구조 ▲ 시설관리는 물리, 한국사이다. 시험일정은 학교장 추천서류 접수는 4.12.(월) ~ 4
오는 4월 17일 시행하는 2021년도 기상직 9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 선발시험에서 평균 8.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2월 21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 원서접수 결과, 총 55명 선발에 471명이 지원했으며, 경쟁률은 지난해(16.6:1)보다 크게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20명)보다 275% 증가된 채용인원의 결과로, 실제 응시원서 접수인원은 지난해 330명 보다 42.7% 많은 471명로 나타났다. 모집단위별로 지역구분 제주가 11대 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국(일반) 9.2대 1 ▲전국(저소득) 4대 1 ▲전국(장애인) 1대1 순이다. 한편, 기상직 9급 필기시험은 서울지역에서만 실시할 예정이며,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은 5월 27일이다. 그리고 면접시험(8월 4일 ~ 8월 13일)을 거쳐 최종합격자 8월 26일에 발표한다.
2021년도 각 지방교육청 지방공무원 채용 공고가 지난 2일 일제히 발표돼 수험생들의 긴장도 한층 더해졌다. 전국 17개 지방교육청 채용공고를 분석한 결과, 우선 올해 교육청 9급 공채 지방공무원의 선발 규모가 작년보다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교육행정(일반)분야의 선발예정인원은 2,286명으로 지난해(2,882명)보다 20.68%p(596명) 떨어졌다. 교육행정(일반)분야 채용인원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도가 532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서울 260명, 전남 252명, 경북 220명, 전북 212명, 충남 145명, 부산 137명, 경남 103명 등으로 세자리 수의 많은 인원을 선발하고, 광주가 8명으로 가장 적게 선발한다. 응시원서 접수기간(4. 19. ~ 4. 23.)과 필기시험일(6. 5.)은 전국이 동일하며, 필기합격 발표일 및 면접시험, 최종합격 발표일은 각 지방교육청에 따라 다르므로 응시자들은 각 지방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이 가장 빠른 지역은 전라남도로 6. 21.(월)이며, 서울이 7. 14.(수)로 가장 늦다. 면접시험을 거쳐 최종합격자 발표는 전라남도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은 ‘2021년도 서울특별시교육청 지방공무원 9급 공개(경력)경쟁임용시험 계획’을 3월 2일(화) 누리집을 통해 공고했다. 올해 지방공무원(고졸자 대상 경력경쟁 선발인원 제외) 414명을 신규채용할 예정이며, 이는 전년도 523명 선발 규모 대비 109명(20%) 감소한 수준이다. 올해 신규 공무원 채용인원은 △공개경쟁 364명 △경력경쟁 50명이며, 분야별로 △행정직군 335명(교육행정 290명, 전산 12명, 사서 33명) △기술직군 79명(공업 3명, 시설 5명, 보건 21명, 시설관리 50명)이다. 사회적약자의 공직 진출 기회를 확대·보장하기 위하여 장애인을 총 선발 예정 인원의 7% 이상(31명), 한부모가족 보호대상자를 포함한 저소득층을 2% 이상(10명) 각각 구분하여 모집한다. 2020년에 이어 올해도 학교시설관리 업무부담 완화 및 학교현장 지원강화를 위한 시설관리직렬을 선발한다. 또한 국가유공자 등의 헌신과 예우에 보답하고 사회진출의 기회 확대를 위해 시설관리직렬 선발인원 중 일부를 국가유공자(보훈청 추천) 대상 특별채용할 예정이다. 이번 공고문에 포함되지 않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예정)자 대상 기술직군 선
6월 5일(토)에 전국이 동시 시행하는 지방공무원 9급 공개채용 임용시험의 원서접수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올해부터는 동일 날짜에 시행하는 임용시험에는 중복 또는 복수로 원서를 접수할 수 없어, 예년과 달리 필기시험 응시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거주지 제한이 없는 서울은 지난해 9급 공채 응시율이 47.3%에 그쳐, 실제 응시율은 원서접수 경쟁률의 절반 이상 떨어졌진 바 있다. (지난해 서울시 제1·2회 공채(경채)임용시험 응시원서 접수인원 49,818명, 필기시험 응시인원 23,576명) 따라서 올해는 서울과 실제 거주지 지역에 중복 지원 후 원서접수 경쟁률에 따라 실제 필기시험 지역을 선택하는 이른바 ‘눈치싸움’도 할 수 없다. 하지만 서울과 거주 지역을 모두 염두하고 있는 수험생들은 어느 곳에 원서를 접수할지에 대한 또 다른 ‘고민’에 빠졌다. 특히 응시원서 접수기간(3. 29.~4. 2.)이 동일한 16개 지자체와 달리 서울의 접수기간(3. 2.~3. 5.)은 한달 가량 먼저 시작해 서울시에 응시원서를 접수하게 되면 자신의 거주지역에는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보통 응시원서 접수기간 마감일(3.5.)에 공개하는 (잠정)경쟁률과 원서접수 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