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4월 23일(금) 18:00까지 전국 17개 지방교육청 공무원 9급 응시원서 접수가 시작된다. 접수는 인터넷 사이트 ‘나이스 대국민서비스’에서 가능하며, 접수취소기간은 4.19.(월) 18:00 ~ 4.26.(월) 18:00이다. 응시자는 반드시 본인의 거주지, 응시연령, 경격사유 해당여부 등 응시자격을 확인하여야 하며, 자격이 없는 자가 응시하여 합격한 경우, 합격이 취소된다. 가산점은 접수마감(4.23. 18:00) 후에도 입력 가능하며, 필기시험일 전일(6.4. 금)까지 입력하여야 한다. 응시표는 5.24.(월) 09:00부터 면접시험일 9.10(금) 18:00까지 출력가능하며, 응시자는 시험 당일 응시표를 지참하여야 한다. 선발직렬 및 구분별로 중복하여 원서 접수는 불가하며, 특성화·마이스터고 경력경쟁임용시험은 학교장 추천서류를 제출한 자에 애해 원서 접수가 가능하다. 한편, 동일한 날짜(6.5.)에 시행하는 지방공무원 9급 시험에 원서접수를 마친 수험생 상당수도 이번 시험에 지원이 예상된다.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은 올해부터 동일 날짜에 시행하는 시험에 대해 중복접수을 금지하고 있으나, 교육청에서 시행하는 임용시험은 중복접수 제한 대상이 아니라
4월 17일 전국 17개 시·도 436개 시험장에서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시험이 치러졌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이날 시험장에는 총 지원자 19만8천110명 중 15만6천233명(잠정치)이 응시해 78.8%의 응시율을 보였다. 지난해 70.9%보다 7.9%p 상승한 수치다. 이번 시험은 지난해와 달리, 코로나19 확진 수험생도 응시가 가능했다. 이는 최근 헙법재판소의 결정 취지를 존중하여 확진자 중 시험에 응시를 희망하는 경우 별도의 신청 철차에 따라 철저한 방역관리 하에 시험응시가 가능하도록 조치한 결과이다. 이날 시험에 응시한 코로나19 확진자는 5명, 자가격리자는 42명이다. 올해 시험은 역대 최대 인원인 5,662명 선발에 19만 8,110명이 지원해 평균 35:1의 경쟁률을 보였고, 행정직군은 평균 38.2대 1을, 기술직군은 31.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응시율을 감안하면, 실제 경쟁률을 원서접수 경쟁률보다 낮아 질 것 으로 분석된다. 시험 당일 공개된 필기시험 정답가안에 대한 이의제기 기간은 4.17.(토) 18:00 ~ 4.20.(화) 18:00이며, 최종정답은 4.26.(월) 18:00에 발표된다. 필기시험 가산점을 받고자
9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이 코 앞으로 다가왔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시험일을 올 하반기로 연기하자는 국민청원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당초 계획된 4월 17일(토)에 치러질 예정이다. 이번 시험을 주관하는 인사혁신처 역시 방역당국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방역대책을 마련하고 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응시자 안전을 최우선 목표로 시험을 치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9급 공채 필기시험은 최대 규모의 국가직 공무원채용시험인 만큼, 공시생(공무원 채용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의 관심이 크다. 이에 수험뉴스는 지난해 국가직 9급 시험 관련 통계를 다시 한번 살펴보았다. 지난해 7월 11일에 치러진 9급 필기시험에는 4,985명 선발예정에 185,203명이 출원했고, 이중 131,235명이 응시해 실질 경쟁률은 26.3대 1을 기록했다. ※ 원서접수 경쟁률: 37.2대 1, 응시율: 70.86% 행정직군 합격선은 일반행정(지역, 서울·인천·경기)이 403.17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교육행정 401.47점, 선거행정 395.11점, 관세 394.26점 등으로 높았다. 기술직군 합격선은 일반기계와 화공, 시설조경, 방재안전이 82점으로 가장 높았고 전기와 일
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응시자 안전을 최우선 목표로 ‘2021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이 치러진다.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 취지를 고려해 자가격리자 뿐 아니라 확진 수험생도 본인이 응시를 희망하는 경우, 철저한 방역관리 하에 응시를 허용할 방침이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우호)는 방역당국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방역대책을 마련하고, 오는 17일 9급 공채 필기시험을 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시험은 총 5,662명 선발에 19만 8,110명이 지원해 평균 35: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인사처가 방역당국 등과 협의해 시행하는 시험 방역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수험생 사전관리 대책 먼저, 인사처는 방역당국 및 관계기관 등의 협조를 받아 수험생 전원에 대해 확진 또는 자가격리 여부 및 출입국 사실을 확인한다. 수험생이 건강상태나 출입국 이력 등을 스스로 신고할 수 있는 자진신고시스템(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서 접속)도 확대·운영한다. 지난해 상당한 방역효과를 보인 수험생 자진신고시스템 운영기간을 1주에서 2주로 연장하고, 감독관 등 시험 종사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확대·운영한다. □ 확진자·자가격리자 응시대책 확진 판정을 받은 수험생에
2021년 8·9급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경쟁률이 지역별로 공개된 가운데, 17개 지자체 중 제주도가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제주도는 175명 선발에 3,359명이 출원하여 평균 19.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다음으로 ▲세종 15.4:1 ▲대구 14.3:1 ▲부산 14.0:1 ▲울산 13.7:1 ▲광주 12.6:1 ▲대전 12.3:1 ▲경남 11.9:1 ▲서울 11.1:1 ▲경북 10.3:1 ▲인천 9.7:1 ▲경기 9.3:1 ▲전북 9.1:1 ▲강원 8.9:1 ▲전남 8.2:1 ▲충북 8.1:1 ▲충남 7.8:1 순이다. 가장 많은 인원을 채용하는 일반행정(일반) 지역별 경쟁률도 제주 지역이 33.9대 1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세종 17.8:1 ▲대구 17.7:1 ▲부산 16.6:1 ▲대전 16.4:1 ▲울산 15.9:1 ▲경남 15.8:1 ▲광주 14.4:1 ▲서울 14.3:1 ▲경북 13.8:1 ▲경기 13.4:1 ▲인천 13.3:1 ▲강원 12.8:1 ▲전북 11.8:1 ▲전남 11.1:1 ▲충북 10.7:1 ▲충남 10.5:1 순으로 전체 경쟁률과 유사했다. 한편 올해부터 동일 날짜에 시행되는 임용시험에 중복접수가
2021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이 전국 17개 시·도 436개 시험장에서 시행될 예정이다. 응시생은 사이버국가고시센터 홈페이지에서 응시번호로 본인이 응시할 시험장을 확인 할 수 있다. 또 코로나 19 확진자 발생으로 시험장소가 폐쇄될 경우 다른 시험장에서 시험을 시행하며, 변경장소는 개별 문자메시지로 사전 안내될 예정이다. 필기시험 당일 본인 확인을 위해 응시표와 신분증을 소지해야하며, 응시표는 「사이버국가고시센터-마이페이지-원서접수 내역-응시표 출력」에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필기시험 정답가안은 시험 당일(4.17.) 14:00 이후 공개되며, 정답가안에 대한 이의제기는 4.17.(토) 18:00 ~ 4.20.(화) 18:00 기간 동안 할 수 있으며 최종정답은 4.26.(월) 18:00에 공개될 예정이다.
법원행정처가 시행하는 2021년 법원 9급 공개경쟁채용 선발시험의 최종합격자 317명이 발표됐다. 법원사무직렬을 지원한 293명(일반 285명, 장애 5명, 저소득 3명)과 등기사무직렬에 응시한 24명(일반 20명, 장애 2명, 저소득 2명)이 합격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합격자 명단은 ‘대한민국 법원 시험정보’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응시번호로 확인가능하고, 최종합격자에게는 개별 통지됐다. 선발예정인원 317명에 제1·2차시험에 329명이 합격했으며, 제3차(면접)시험에서 12명이 탈락하여 초과합격 없이 317명이 최종합격했다. 전체 합격자 중 여성합격인원은 220명(69.4%)으로 지난해(62.2%)보다 늘어났다. 학력별로는 대학교가 290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원 21명, 고졸이하 3명, 기타 3명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비중은 20대가 81.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30대(13.6%), 40대(4.7%), 20대(0.6%) 순이다. 제1·2차 필기시험 성적은 ‘대한민국 법원 시험정보’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2021. 4. 8.(목)부터 3개월간 확인 가능하다. 최종합격자 전원은 신원진술서 등 제출서류를 오는 4월 21일(수)까지 법원행정처 인사운영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