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공무원
국가공무원 9급 합격하기 쉬워진다, 경쟁률 고점 대비 4분의 1토막
올해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 채용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작년보다 하락한 22.8:1로 집계됐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지난달 9∼11일 국가공무원 9급 공채시험 원서를 접수한 결과 5,326명 선발에 총 12만 1,526명이 지원해 22.8: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 (최근 5년 경쟁률) (’19년)39.2:1, (’20년)37.2:1, (’21년)35.0:1, (’22년)29.2:1, (’23년)22.8:1 모집 분야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행정직군은 4,682명 모집에 10만 5,511명이 지원해 22.5:1, 기술직군은 644명 모집에 1만 6,015명이 지원해 24.9:1로 집계됐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직렬은 62명을 선발하는 교육행정(일반)으로 1만 2,177명이 접수해 196.4: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기술직군에서는 시설(시설조경)이 6명 선발에 312명이 접수해 52.0: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원자의 평균 연령은 29.9세이며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가 57.3%로 가장 많고 30대 33.7%, 40대 8.1% 순이었다. 50세 이상은 1,087명이 지원해 0.9%를 차지했다. 올해 지원자 수는 지난해 16만 5,524명에 비해 4만 3,998명 감소했다. 인사처는 공채시험 경쟁률이 하락하는 이유로 고교선택과목 폐지, 학령인구감소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9급 공채시험 지원자 수는 ’10년∼’12년 평균 14만 7천 명에서 고교선택과목제*가 시행된 ’13년∼’21년 평균 20만 2천 명으로 증가했으며 제도 폐지 후 평균 14만 4천 명으로 줄었다. * ’22년부터 9급 고교선택과목(사회·과학·수학) 폐지 및 전문과목(행정학·행정법 등) 필수화 ‘고교선택과목제’는 9급 선택과목으로 전문과목 이외에 고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난 ‘13년∼’21년까지 운영됐으며 기간 중 고교과목을 1과목 이상 선택한 지원자 수는 평균 8만 7천 명으로 약 40%였다. 특히, 세무직 지원자의 경우 ’12년 9,713명에서 고교선택과목제가 도입된 ’13년에는 2만 5,625명으로 1만 5,912명 증가한 반면 제도가 폐지된 ’22년에는 1만 956명으로 전년 대비 8,733명 감소했다. 이러한 공채시험 경쟁률 하락에 대해 정부는 우수인재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하위·실무직에 대한 처우개선을 지속적으로 적극 검토하는 한편 ▲’22년 8월 발표한 공직문화 혁신으로 수평적인 조직문화 조성 ▲원서접수기간 연장 등 적극적인 채용 활동 전개 ▲수험생과의 양방향 소통강화 ▲공무원 인재상 정립 등 채용제도 개선 등을 통해 직무역량이 우수한 인재 확보를 위해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 * (’23년도 9급 1호봉 기준) 기본급 5% 인상, 직급보조비 17.5만원(+2만원), 가족수당 1만원 인상 아울러 인사처는 공무원 시험 경쟁률은 너무 높아도 너무 낮아도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신규자의 직무역량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관리자(830명) 등을 대상으로 신규자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지원자 감소에도 불구하고 신규자의 전문지식·기획력 등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응답하는 등 신규자의 직무역량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승주 인재채용국장은 “최근 공무원 시험 경쟁률 추이 등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공직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등 수험생의 시험응시를 지원해 공직에 적합하고 사명감 높은 인재를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9급 공채 필기시험 합격자는 5월 17일 발표되며, 시험장소는 이달 31일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를 통해 안내할 예정이다. □ 모집분야별 원서접수 현황 구 분 선발예정인원 접수인원 경쟁률 2023년 2022년 2023년 2022년 2023년 2022년 계 5,326 5,672 121,526 165,524 22.8 29.2 행정 소계 4,682 4,996 105,511 141,733 22.5 28.4 일반 4,304 4,582 101,885 137,430 23.7 30.0 장애인 245 274 1,561 1,961 6.4 7.2 저소득 133 140 2,065 2,342 15.5 16.7 기술 소계 644 676 16,015 23,791 24.9 35.2 일반 581 606 15,705 23,387 27.0 38.6 장애인 45 49 112 157 2.5 3.2 저소득 18 21 198 247 11.0 11.8 □ 성별 원서접수 현황 (단위: 명, %) 구 분 계 남 여 2023년 인원 121,526 51,326 70,200 (비율) (100.0) (42.2) (57.8) 2022년 인원 165,524 68,385 97,139 (비율) (100.0) (41.3) (58.7) 2021년 인원 198,110 83,995 114,115 (비율) (100.0) (42.4) (57.6) □ 연령별 원서접수 현황 (단위: 명, %) 구 분 계 18~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세이상 비 고 (평균연령) 2023년 인원 121,526 547 69,083 40,905 9,904 1,087 29.9세 (비율) (100.0) (0.5) (56.8) (33.7) (8.1) (0.9) 2022년 인원 165,524 872 100,053 51,794 11,565 1,240 29.4세 (비율) (100.0) (0.5) (60.4) (31.3) (7.0) (0.7) 2021년 인원 198,110 1,598 121,533 60,592 12,955 1,432 29.2세 (비율) (100.0) (0.8) (61.4) (30.6) (6.5) (0.7) 붙임 2 9급 공채시험 직렬별 원서접수 세부내역 모집단위 2023년 접수인원 선발예정인원 경쟁률 총 계 121,526 5,326 22.8 행정직 계 105,511 4,682 22.5 행정(일반행정 전국:일반) 30,206 411 73.5 행정(일반행정 전국:장애인) 509 37 13.8 행정(일반행정 전국:저소득) 682 18 37.9 행정(일반행정 지역:일반) 10,702 192 55.7 행정(일반행정 지역:장애인) 209 14 14.9 행정(우정사업본부 전국:저소득) 317 21 15.1 행정(우정사업본부 지역:일반) 10,614 672 15.8 행정(우정사업본부 지역:장애인) 213 59 3.6 행정(경찰청 전국:일반) 7,531 407 18.5 행정(경찰청 전국:장애인) 214 35 6.1 행정(경찰청 전국:저소득) 139 13 10.7 행정(고용노동:일반) 1,930 101 19.1 행정(고용노동:장애인) 42 9 4.7 행정(고용노동:저소득) 75 3 25.0 행정(교육행정:일반) 12,177 62 196.4 행정(교육행정:장애인) 192 6 32.0 행정(교육행정:저소득) 186 2 93.0 행정(선거행정:일반) 1,051 72 14.6 행정(선거행정:장애인) 39 6 6.5 행정(선거행정:저소득) 19 2 9.5 직업상담(직업상담:일반) 941 22 42.8 직업상담(직업상담:장애인) 11 2 5.5 직업상담(직업상담:저소득) 24 1 24.0 세무(세무:일반) 8,292 803 10.3 세무(세무:장애인) 77 69 1.1 세무(세무:저소득) 166 26 6.4 관세(관세:일반) 1,347 57 23.6 관세(관세:장애인) 44 5 8.8 관세(관세:저소득) 23 2 11.5 통계(통계:일반) 593 43 13.8 통계(통계:장애인) 11 3 3.7 통계(통계:저소득) 13 1 13.0 교정(교정:남) 4,854 907 5.4 교정(교정:여) 1,145 32 35.8 교정(교정:저소득) 162 27 6.0 보호(보호:남) 1,200 142 8.5 보호(보호:여) 1,563 61 25.6 보호(보호:저소득) 98 6 16.3 모집단위 2023년 접수인원 선발예정인원 경쟁률 검찰(검찰:일반) 5,660 274 20.7 검찰(검찰:저소득) 113 8 14.1 마약수사(마약수사:일반) 395 15 26.3 마약수사(마약수사:저소득) 10 1 10.0 출입국관리(출입국관리:일반) 1,356 12 113.0 출입국관리(출입국관리:저소득) 26 1 26.0 철도경찰(철도경찰:일반) 328 19 17.3 철도경찰(철도경찰:저소득) 12 1 12.0 기술직 계 16,015 644 24.9 공업(일반기계:일반) 1,459 46 31.7 공업(일반기계:장애인) 9 4 2.3 공업(일반기계:저소득) 19 1 19.0 공업(전기:일반) 1,581 43 36.8 공업(전기:장애인) 9 4 2.3 공업(전기:저소득) 18 1 18.0 공업(화공:일반) 859 17 50.5 공업(화공:장애인) 4 1 4.0 공업(화공:저소득) 7 1 7.0 농업(일반농업:일반) 2,028 57 35.6 농업(일반농업:장애인) 11 4 2.8 농업(일반농업:저소득) 19 2 9.5 임업(산림자원:일반) 1,262 74 17.1 임업(산림자원:장애인) 13 5 2.6 임업(산림자원:저소득) 24 2 12.0 시설(일반토목:일반) 2,788 75 37.2 시설(일반토목:장애인) 11 7 1.6 시설(일반토목:저소득) 33 3 11.0 시설(건축:일반) 1,645 43 38.3 시설(건축:장애인) 15 4 3.8 시설(건축:저소득) 21 1 21.0 시설(시설조경:일반) 312 6 52.0 방재안전(방재안전) 287 7 41.0 전산(전산개발:일반) 2,322 117 19.8 전산(전산개발:장애인) 33 9 3.7 전산(전산개발:저소득) 47 4 11.8 전산(데이터:일반) 312 13 24.0 전산(데이터:장애인) 1 1 1.0 전산(정보보호:일반) 195 16 12.2 전산(정보보호:장애인) 2 1 2.0 전산(정보보호:저소득) 2 1 2.0 방송통신(전송기술:일반) 655 67 9.8 방송통신(전송기술:장애인) 4 5 0.8 방송통신(전송기술:저소득) 8 2 4.0 ※ 지역구분모집 지역별 원서접수 세부 내역은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