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혁신처는 지난 10일 2023년도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 원저섭수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지역인재 7급 경쟁률은 평균 2.7대 1로 전년(4.1:1)도에 비해 크게 하락했다. 모집 단위별로 살펴보면 행정직이 110명 선발에 366명이 지원해 3.3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기술직은 75명 선발에 129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이 1.7대 1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토목, 건축, 방송통신, 전산 직류는 모집 인원보다 적은 인원이 지원하여 각각 0.9대 1, 0.5대 1, 0.8대 1, 0.9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인사혁신처는 495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오는 3월 4일 필기시험을 치러 3월 24일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필기시험 합격자는 헌법 과목 점수 60점 이상 득점한 사람 중 나머지 과목((PSAT: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영역) 성적순으로 결정된다. 면접시험은 5월 12일(금)부터 13일(토)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과 적격성을 검증하기 위해 5개 평정요소*에 대해 각각 상‧중‧하로 평정하여 불합격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자 중 평정 성적이 우수한 자 순으로 합격자가 결정된다. * 평정요소 : 공무원으로서의 정신자세
내년도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예정 인원은 전년 대비 20명이 늘어난 총 185명(행정분야: 110명, 기술분야: 75명)이다. 선발절차는 원서접수 → 필기시험 → 서류전형 → 면접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 이며, 최종합격자는 1년간 수습근무 후 임용여부 심사를 거쳐 일반직 7급 국가공무원으로 임용된다. 원서접수는 2023. 2. 1.(수) 09:00 ~ 2. 3.(금) 18:00까지이며, 필기시험은 3월 4일(토)에 시행된다.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합격자가 속한 학교는 3. 24. ~ 3. 29.까지 추천서 등 제출서류를 전자문서로 제출해야 한다. 필기시험은 헌법과 PSAT(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영역)이며, 필기시험 합격자는 헌법 과목 점수 60점 이상 득점한 사람 중 PSAT 성적순으로 결정된다. 서류전형은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해 제출된 서류를 통해 추천 자격요건의 적합 여부를 서면으로 심사한다. 한편, 최종합격자는 2024년 상반기 중 수습근무를 시작하며 1년간 수습근무 후 임용심사 결과에 따라 일반직 7급 국가공무원에 임용된다. □ 선발예정 직렬(직류)과 인원 직 군 직 렬 직 류 선발인원 임용예정부처 (예시) 행 정 (110명) 110명
2022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최종합격자가 발표됐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최종합격자 856명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gosi.kr)를 통해 13일 발표했다. 최종 모집 분야 별로는 행정직군에서 639명, 기술직군에서 217명이 합격했고, 이 중 장애인 구분모집에서 43명이 최종 합격했다. 최종합격자의 평균 연령은 27.7세로 지난해 27.6세보다 약간 높아졌다. 연령대별로는 25~29세가 56.8%(486명)로 가장 많았고, 20~24세 20.0%(171명), 30~34세 15.7%(134명), 35~39세 4.9%(42명), 40~49세 2.3%(20명), 50세 이상 0.2%(3명) 순이었다. 여성 합격자*는 전체 합격자의 42.1%인 360명으로 지난해 대비 7.2%p 증가했다. 어느 한쪽 성별 합격자가 합격예정인원의 30% 미만일 경우, 해당 성별 응시자를 추가로 합격시키는 양성평등채용목표제 적용으로는 일반행정(장애인), 재경, 관세, 통계, 감사 등 10개 모집 단위에서 18명(남5, 여13)이 추가로 합격했다. *(’18년) 39.3% → (’19년) 38.1% → (’20년) 41.5% → (‘2
2022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 2차 시험 합격자가 발표됐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국가직 7급 공채 2차 시험 합격자 967명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gosi.kr)를 통해 15일 발표했다. 지난달 15일 치러진 2차 시험에는 공직적격성평가(PSAT) 합격자 4,755명이 응시해 선발예정인원 785명 대비 6.1: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2차 시험의 행정직군 합격선은 검찰, 출입국관리 직류가 91.00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행정 81.00점, 세무 72.00점 등이다. 기술직군 합격선은 일반농업 직류가 89.00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기계 78.00점, 전산개발 77.00점 등이다. 합격자의 평균 연령은 27.9세로 지난해 27.7세보다 다소 높아졌다. 연령대별로는 25~29세가 55.7%(539명)로 가장 많았고, 20~24세 19.3%(187명), 30~34세 16.8%(162명), 35~39세 5.1%(49명), 40~49세 2.7%(26명), 50세 이상 0.4%(4명) 순이었다. 여성 합격자*는 전체 합격자의 41.3%인 399명으로 지난해 대비 증가했다. *여성합격자 비율 : (‘19)37.8% → (‘20)40.5% → (‘21)
2022년도 지방공무원 7급 공채 등 필기시험이 10월 29일(토) 전국 17개 시ˑ도의 101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실시됐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지방공무원 7급, 연구‧지도직 등 공개경쟁임용시험(공채) 및 경력경쟁임용시험(경채) 원서를 접수한 결과, 총 1,441명 선발에 43,826명이 지원하였다. 선발 대상별로는 7급의 경우, 533명 선발에 34,267명이 지원해 지난해보다 소폭 상승한 64.3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시ˑ도별 선발인원은 서울이 303명(7급 선발인원 전체의 56.8%)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쟁률은 경남이 414.0대 1(선발 2명/접수 828명)로 가장 높고, 전남이 27.1대 1(선발 47명/접수 1,274명)로 가장 낮았다. 연령별로는 20세~29세가 51.0%(17,742명)로 가장 많고, 30세~39세가 38.4%(13,150명)로 그 뒤를 이었다. 7급 지원자 중 남성 비율은 42.2%(14,453명), 여성 비율은 57.8% (19,814명)를 나타냈다. ※ (’21년) 선발예정인원 619명, 접수인원 38,846명, 평균경쟁률 62.8 : 1 연구‧지도직의 경우 312명 선발에 5,593명이 지원해 경쟁률 1
지난 15일 2022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 제2차 시험이 전국 5개 지역 12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치러졌다. 이번 시험은 지난 7월 23일에 치러진 제1차 시험인 공직적격성평가(PSAT) 시험에 지원한 21,731명 중 합격자 5,563명을 대상으로 치러졌다. 2차 시험은 전문과목 시험으로 총 4개 전문과목에 대해 사지선다 25문항 총 100문항으로 치러진다. 2022년 7급 공채 제2차 시험에는 총 785명 선발에 4,755명이 응시하여 6대 1의 실 경쟁률을 보였다. 인사혁신처는 응시자 5,636명 중 4,755명이 응시해 지난해보다 5.5% 떨어진 84.4%의 응시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한편, 2022년 7급 공채시험 최종 합격자는 이번 2차 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11월 30일부터 12월 3일까지 면접시험을 거쳐 오는 12월 14일 발표될 예정이다.
【주요 모집단위 합격선(일반 모집단위 기준)】 구분 행정 기술 주요 모집단위 합격선 일반행정 77.00 통계 78.66 교육행정 78.66 외무영사 78.66 세무 66.66 일반기계 70.66 화공 79.66 일반농업 76.00 전산개발 60.00 2022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 1차 시험 합격자가 발표됐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지난달 23일 치러진 7급 공개경쟁채용 1차 시험 합격자 5,563명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gosi.kr)를 통해 30일 발표했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시행한 이번 공직적격성평가(PSAT) 1차 시험에는 21,731명이 응시해 선발예정인원 785명 대비 27.7: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 영역 객관식 75문항으로 치러졌으며, 1차 시험 합격자는 오는 10월 15일에 2차 전문과목 시험을 진행한다. 행정직군 합격선은 통계, 교육행정, 외무영사 직류가 78.66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행정 77.00점, 세무 66.66점 등이다. 기술직군 합격선은 화공 직류가 79.66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농업 76.00점, 전산개발 60.00점 등이다. 여성 합격자는 전체 합격자의 40.8%인 2,
2022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채 제1차시험 성적(과목별 원점수), 과목대체성적(영어, 한국사) 및 가산점(취업지원대상자 및 의사상자 가산점 인정여부, 가산비율)을 8.16.(화)부터 8.17.(수)까지 사이버국가고시센터(로그인 〉마이페이지 〉성적사전공개/이의제기)를 통해 사전공개 된다. 인사혁신처는 이 기간 내에 시험 응시자들이 본인의 성적 등을 확인하기를 당부했다. 지난 5일 발표한 인사혁신처 안내에 따르면 응시자 본인이 가채점한 결과와 사전 공개한 성적이 다를 경우 8.16.(화) ~ 8.17.(수) 기간 중에 이의제기(과목 단위로 신청 가능)를 할 수 있으며, 이의제기가 접수되면 OCR 판독결과를 다시 한 번 확인‧검증하여, 8.19.(금)에 재검증 결과를 공개(사이버국가고시센터 내 마이페이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만약, 위 기간 내에 이의제기가 없으면 해당 답안지는 정상판독된 것으로 간주되어 개인별 성적(과목별 원점수)이 그대로 최종 확정되며, 이를 바탕으로 합격선 및 합격자 결정 절차가 진행된다. 또한, 응시자가 7.23.(토)~7.25.(월)까지 등록한 가산점 신청내용에 대해서도 관계기관 조회‧확인 결과를 함께 공개하므로, 이에 대해서도 이의가
2022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 경쟁률이 지난해 보다 하락한 42.7대 1로 집계됐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지난달 24~26일까지 국가공무원 7급 공채시험 응시원서를 접수한 결과, 785명 선발에 총 33,527명이 지원해 평균 42.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8일 밝혔다. 올해 접수 인원은 지난해에 비해 5,420명 감소해 작년 경쟁률 47.8대 1보다 하락했다. ** 최근 경쟁률 : ‘18년 47.6:1 → ’19년 46.4:1 → ‘20년 46.0:1 → ’21년 47.8:1 → ‘22년 42.7:1 직군별 경쟁률은 행정직군 579명 선발에 27,693명이 지원해 47.8대 1, 기술직군은 206명 선발에 5,834명이 지원해 28.3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행정직군 교육행정에서 3명 모집에 614명이 지원해 204.7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기술직군에서는 일반농업이 5명 모집에 390명이 지원해 78.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원자 평균 연령은 29.7세로 지난해(29.4세)보다 약간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19,824명(59.1%)로 가장 많았고, 30대 10,937명(32.6%), 40대 2,505명(
2022년도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 최종합격자가 발표됐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2022년도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 최종합격자 161명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를 통해 26일 발표했다. 5월 13일과 14일 면접시험을 거쳐 발표된 올해 최종합격자는 행정직군 100명, 기술직군 61명이다. 올해부터 전문성이 요구되는 기술직군은 선발 직렬과 합격자 전공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일반기계 7명, 전기 5명, 건축 5명 등 직렬(직류)별로 구분해 선발했다. 합격자 평균 연령은 25.3세이고, 성별로는 여성 93명(58%), 남성 68명(42%)이다.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은 지역별 인재를 고르게 채용, 공직의 지역 대표성을 강화하고 충원경로를 다양화하기 위해 지난 2005년 도입됐다.학사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학교에서 학과성적 상위 10% 이내 졸업(예정)자를 추천받아 필기시험(PSAT·헌법), 서류전형, 면접시험을 거쳐 선발한다. 합격자는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게시된 공고문을 참고해 오는 27일~ 6월 2일까지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후보자 등록을 해야 한다.내년 상반기 중 공직 적응과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기본
□ 제1차시험 시간표 구 분 시험시간(정규시간 기준) 진행사항 및 시험과목 비고(문항수 등) 응시자 교육 등 13:00~13:30 30분 13:00까지 시험실 입실 1교시 13:30~15:30 120분 언어논리영역, 상황판단영역* 과목당 25문항 / 5지 택1형 휴식시간 15:30~16:00 30분 16:00까지 시험실 입실 응시자 교육 등 16:00~16:30 30분 소지품 검사, 답안지 배부 등 2교시 16:30~17:30 60분 자료해석영역 25문항 / 5지 택1형 2022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 제1차시험의 시험시간이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오전부터 실시되던 시험시간이 오후부터 실시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시험시간 또한 6시간에서 4시간으로 줄어들었다. 인사혁신처는 장시간 시험으로 인한 수험생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금년부터 7급 공채 제1차시험의 시험시간을 변경한다고 지난 20일 공고했다. 이에 따라 7급 1차 시험 응시자들은 시험 당일 오후 13시까지 시험실에 입실하여 30분간 응시자 교육을 받고 13시 30분부터 120분간 언어논리영역과 상황판단영역 두 과목을 치르게 된다. 1교시 2과목(언어논리영역, 상황파단영역)은 1개의 문제책으로 합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