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전국 소방공무원 신규채용 필기시험 합격자 명단 및 지역별 합격선이 공개됐다. 평균 경쟁률 9.6대 1을 기록한 올해 필기시험에서 선발예정인원(3,767명)의 1.7배수인 6,381명이 합격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필기시험에서도 작년과 마찬가지로 평균 87.78%의 높은 응시율을 기록했고, 지역별로 경남(90.98%), 충남(90.40%), 충북(90.38%), 제주(90.34%) 등이 높은 응시율을 기록한 반면, 대전이 81.10%로 가장 낮았다. 전체 선발인원 중 총 1,947명을 선발하는 공채 소방사의 경우 지역별로 합격선이 큰 차이를 보였는데, 남자의 경우 부산소방청이 400점으로 가장 높게 기록됐다. 다음으로 ▲전북 390 ▲제주 390 ▲서울 385 ▲경기 385 ▲경남 385 ▲대구 385 ▲충남 385 ▲전남 380 ▲강원 380 ▲광주 375 ▲경북 375 ▲충북 370 ▲인천 365 ▲세종 355 ▲창원 335 ▲울산 330 ▲대전 320 순이다. 특히 작년에 가장 합격선이 높았던 대전소방청은 올해 가장 낮은 합격선을 보였다. 소방사 여자의 경우 최고 합격선을 보인 지역은 415점을 기록한 충남소방청이다. 다음으로 ▲서울…
먼저 국가직 공무원 5·7·9급 공채시험 응시 자격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응시연령에 차이가 있다. 7급 이상 일반직의 경우 20세 이상이어야 응시가 가능하며, 8급 이하의 경우 18세 이상이면 응시가 가능하다. 단, 8급 이하의 경우에도 교정·보호 직렬은 20세 이상이어야 응시가 가능하다. 학력은 1973년 이후 학력 제한이 폐지되어 직급에 관계없이 학력 제한이 없다. 결격사유 또한 면접시험 최종일 기준 국가 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고, 공무원 임용 시험령 등 관계법령에 의해 응시 자격을 정지당하지 않은 자이면 족하다. 다음으로 국가직 공무원 5·7·9급의 시험 방법과 내용은 어떻게 다른지, 시험 시간이나 문항 수 같은 것들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급수 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5급 공채시험의 경우 1차 시험은 선택형 필기 & 영어, 한국사 자격 요건을 충족하면 된다. 1차시험 과목은 헌법(25분), 언어논리영역(90분), 자료해석영역(90분), 상황 판단영역(90분) 이다. 1차 시험은 2022학년도 기준, 2·3차 시험은 2021학년도 채용절차 공고를 따른다. 시험과목은 선택 직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차 시험은 논문형 필기시험이다
공무원 시험을 합격해야만 공무원이 될 수 있을까?, 공무원이 되는 다양한 채용 방식을 알아본다. 인사혁신처에는 다양한 공무원 채용 방식이 있다. 공무원 공개경쟁채용 (공채), 공무원 경력경쟁채용 (경채), 민간경력자 일괄채용 시험, 지역인재 추천채용제도 · 중증 장애인 경력 채용 그리고 개방형 직위가 있다. 공채시험 외에 다양한 공무원 입직경로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으로 ‘공무원 시험’이라고 생각하는 채용 방식이 공무원 공개경쟁채용(공채) 이다. 공무원 공개경쟁채용(공채)은 신규 공무원을 채용하는 제도로 균등한 기회 보장과 우수한 인력의 공무원 선발을 위한 채용 방식이다. 두 번째로 공무원 경력경쟁채용(경채)이 있다. 공개경쟁채용 시험에 의하여 충원이 곤란한 분야에 대하여 채용하는 제도로서 관련 직위의 우수 전문 인력 및 유경력자를 선발 제도로 경력이나 자격증 등 일정한 자격 요건을 갖춘 사람을 채용하는 시험이다. 민간 경력자 일괄 채용 (민경채)은 경력경쟁채용 시험의 한 종류이지만, 인사처에서 각 중앙부처의 소요를 취합해 일괄 시행하는 시험이라는 게 가장 큰 차이점이다. 다음으로 지역인재 추천채용제도 · 중증 장애인 경력 채용이 있다.…
□ 2022년 군무원 채용인원(6,213명) 구 분 국 방 부 육 군 공 군 해 군 계 402명 4,802명 340명 669명 공채 369명 4,462명 319명 593명 경채 33명 340명 21명 76명 지난 15일 2022년도 국방부 및 육군·해군·공군 각 군의 일반군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및 공개경쟁채용시험 시행계획이 발표됐다. 올해 선발되는 일반군무원은 총 6,213명으로, 이 중 공채는 5,743명이며 경채는 470명이다. 먼저 국방부 주관 일반군무원 채용인원은 총 402명으로 공채 369명, 경채 33명이다. 육군 주관 일반군무원 채용인원은 총 4,802명으로 공채 4,44명, 공채(장애) 418명, 경채 275명, 경채(국직) 22명, 경채(지역 구분) 43명 등이다. 공군 주관 일반군무원 채용인원은 총 340명으로 공채 290명, 공채(장애) 29명, 경채(공군) 10명, 경채(국직) 11명 등이다. 마지막으로 해군 주관 일반군무원 채용인원은 총 669명으로 해군공채 439명, 해군공채(장애) 27명, 해병대 공채 115명, 해병대 공채(장애) 12명, 해군경채 22명, 해군경채(지역) 20명, 해군경채(국직) 11명, 해병대 경채 3명, 해병
한국행정연구원이 발표한 2020년 공직생활실태조사에서 대한민국 공무원의 이직 의향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연령이 낮고, 재직년수가 짧을수록 이직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직의향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였고, 30대 40대 50대 순으로 이직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직년수별로는 5년 이하가 가장 높았고, 6~10년, 11~15년, 16~20년, 21~25년, 26년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직의향이 있는 분야 1위는 공공기관(34.3%)이었으며, 창업(19.5%)이 2위, 민간기업(16.2%)이 3위를 차지했다. 그 외에도 교직, 학업, 비영리단체 등으로의 이직의향도 있었다. 공공기관으로의 이직의향이 있는 공무원은 20대 8~9급 공무원으로 5년 이하의 공직생활을 한 공무원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창업 의사가 있는 공무원은 공직생활을 21~25년 한 50대 이상의 6~7급 공무원층에서 많이 나타났다. 또한 민간기업으로의 이직의향이 있는 공무원은 박사학위가 있고 5년 이하의 공직생활을 한 30대 5급 공무원층이 다수였다. 이직을 하려는 이유로는 공직 경력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공무원들이 공통적으로 ‘낮은 보수’를 들었다.
▣ 원서접수 결과 (단위 : 명) 모집단위 2022년 채용예정인원 접수인원 경쟁률 전국 일반 67 443 6.6:1 장애인 5 5 1:1 저소득 2 8 4:1 지역구분 제주 1 13 13:1 계 75 469 6.3:1 2022년도 기상직 9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원서접수 결과가 발표됐다. 기상청은 올해 전국모집 일반 67명, 장애인 5명, 저소득층 2명, 지역구분(제주) 1명 등 총 75명의 기상직 9급 공무원을 선발할 예정이다. 지난 2월 10일 목요일부터 2월 12일 토요일까지 진행된 원서접수결과 총 469명이 지원해 평균 6.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작년 경쟁률이 8.6대 1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올해 기상청 경쟁률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작년의 경우 55명 선발에 471명이 지원한 반면 올해는 선발인원은 크게 늘어나고 출원인원은 차이가 없어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아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국 일반의 경우 67명 선발에 443명이 지원해 경쟁률이 6.6대 1이었고, 지역 제주의 경우 1명 모집에 13명이 지원해 13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전국 저소득의 경우 2명 선발에 8명이 지원했고, 전국 장애의 경우 5명 선발
올해 지역인재 7급 경쟁률 평균 4.1대 1로 작년(4대1)과 비슷 인사혁신처는 지난 4일 2022년도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 원저섭수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지역인재 7급 경쟁률은 평균 4.1대 1로 작년(4.0:1)과 비슷한 경쟁률을 보였다. 모집 단위별로 살펴보면 행정직이 100명 선발에 476명이 지원해 4.8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기술직은 65명 선발에 205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이 3.2대 1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일반환경)직류는 8명 채용에 42명이 지원해 모집 단위 중 가장 높은 5.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인사혁신처는 681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오는 2월 26일 필기시험을 치러 3월 18일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필기시험 합격자는 헌법 과목 점수 60점 이상 득점한 사람 중 나머지 과목((PSAT: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영역) 성적순으로 결정된다. 면접시험은 5월 13일(금)부터 14일(토)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과 적격성을 검증하기 위해 5개 평정요소*에 대해 각각 상‧중‧하로 평정하여 불합격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자 중 평정 성적이 우수한 자 순으로 합격자가 결정된다. * 평정요소 :…
인사혁신처는 28일 2022년 지역인재 9급 수습직원 선발시험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공고문에 따르면, 올해 선발예정인원은 작년(320명)보다 60명 많은 총 380명(행정 260명, 기술: 120명)이다. 작년 대비 행정직군은 60명 증원했고, 기술직군은 작년과 동일한 인원을 선발할 계획이다. 이는 2012년 최초 선발 이래 가장 많은 선발인원이다. 행정직군 직류별 선발인원을 살펴보면, 일반행정이 191명으로 작년 대비 61명이 증원됐고, 회계직류(15명)와 세무직류(45명)는 작년과 동일한 인원을 선발한다. 관세직류는 1명이 줄어 9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기술직군은 작년과 동일하게 120명을 선발할 예정이며, 직류별로는 ▲일반기계 14명 ▲전기 17명 ▲화공 4명 ▲일반토목 11명 ▲건축 16명 ▲일반농업 18명 ▲산림자원 5명 ▲보건 6명 ▲식품위생 2명 ▲선박항해 4명 ▲선박기관 2명 ▲전산개발 15명 ▲전송기술 6명을 선발 할 예정이다. 작년과 비교해 대부분 직류에서 선발인원이 줄어든 반면, 일반농업직류(+9명)와 건축직류(+6명)에서는 채용인원이 늘었다. 또 작년 2명을 채용했던 일반환경 직류는 올해 선발 계획이 없었다. 지역인재 9급 수습직원 선발
지난 24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청년 구직자 취업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 구직자의 36.8%가 공공기관과 공무원에 취업하길 원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지난해 12월 2∼8일 20세에서 34세까지의 청년 구직자 500명을 대상으로 해당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취업 시 우선 고려사항으로 임금 및 복지수준, 고용안정성, 워라밸 및 기업문화, 성장가능성 및 비전, 기업 규모 및 인지도, 기업위치, 기타 등 7개 항목을 나열하였는데, 이중 37.6%의 응답자들이 임금 및 복지 수준을 취업 시 가장 먼저 고려한다고 응답했다. 취업 시 우선 고려사항으로 고용 안정성(21.7%), 워라밸 및 기업문화(20.5%) 라고 응답한 구직자도 다수였다. 희망연봉에 대해서는 3천만원에서 4천만원 사이의 연봉을 원하는 구직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중 39.6%인 198명이 해당 구간의 연봉을 희망했고, 2,200만원~3,000만원 28.4%, 4,000만원~5,000만원 15.8%, 5,000만원 이상 10.4%, 2,200만원 내외 5.8%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에 따르면 ’20년 공공부문 일자리 276만 6천 개로, 전년보다 16만 4천 개(6.3%) 증가했다. 일반정부 일자리는 237만 5천 개로 전년보다 15만 5천 개(7.0%) 증가했고, 공기업 일자리는 39만 1천 개로 전년보다 9천 개(2.3%) 증가했다 또, 총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10.2%로, 전년 9.5%에 비해 0.7%p 상승했고, 일반정부는 8.8%, 공기업은 1.4%로 전년보다 0.6%p, 0.04%p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정부 일자리를 세부영역별로 보면, 중앙정부는 85만 개(30.7%), 지방정부는 147만 7천 개(53.4%), 사회보장기금은 4만 8천 개(1.7%)로, 전년보다 중앙정부는 2만 7천 개(3.3%), 지방정부는 12만 5천 개(9.3%), 사회보장기금은 3천 개(6.3%) 각각 증가했다. 일자리 형태를 살펴보면, 전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는 238만 7천 개(86.3%), 이·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20만 6천 개(7.4%), 기업체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일자리는 17만 3천 개(6.3%)로 나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2021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결과를 발표하였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2007년부터 본 조사를 통해 매년 학교급별 진로교육의 전반적인 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이번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1년 학생 희망직업 조사 결과, 1~3위의 희망직업은 전년도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희망직업 1위는 예년과 마찬가지로 운동선수였고, 2위는 의사, 3위는 교사 순이었다. 중학생 희망직업 1위는 교사였고, 2위는 의사, 3위는 경찰관/수사관 순이었다. 고등학생 희망직업 1위는 교사, 2위는 간호사, 3위는 군인 순이었다. 한편, 온라인기반 산업의 증가로 코딩 프로그래머, 가상(증강)현실전문가 등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개발자 희망직업이 전년 대비 상승하였다. 또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직업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로봇공학자 등 신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6년간 중·고등학생의 희망 직업 업무내용 인지 수준은 지속적으로 상향되는 추세였으며, 최근 2~3년간 약 60%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최근 대학생 1,112명을 대상으로 '2022년 공무원 시험 준비 현황'을 주제로 설문을 실시했다. 그 결과 대학생 10명 중 3명은 올해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고, 4명은 앞으로 준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올해 공무원 시험을 볼 계획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1,112명 중 329명이 ‘현재 공무원 시험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대답했는데, 이는 전체 응답자의 29.6%나 된다. 또한 493명이 ‘앞으로 공무원 시험을 준비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했고, 이는 전체 응답자의 44.3%를 차지한다. 이 둘을 합치면 전체 응답자의 73.9%가 공무원 시험에 뜻을 두고 있는 셈이다. 특히 사회과학계열 전공자들 사이에서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이들이 많았는데, 사회과학계열 전공자들 전체의 37.3%가 현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고, 47.7%가 앞으로 공무원시험을 준비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했다. 다음으로 △인문계열(34.3%) △이공자연계열(26.8%) △경상계열(27.0%) △예체능계열(21.0%) 순으로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에서 대학생들이 공무원이 되고 싶은 가장 큰 이유는 정년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