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17일 시행하는 2021년도 기상직 9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 선발시험의 경쟁률이 평균 8.6대 1로 드러났다. 지난 2월 21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 원서접수 결과, 총 55명 선발에 471명이 지원해 지난해 (16.6:1)보다 경쟁률이 약 절반으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20명)보다 275% 증가된 채용인원의 결과로, 실제 응시원서 접수인원은 지난해 330명 보다 42.7% 많은 471명로 나타났다. 모집단위별로 지역구분 제주가 11대 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국(일반) 9.2대 1 ▲전국(저소득) 4대 1 ▲전국(장애인) 1대1 순이다. 한편, 기상직 9급 필기시험은 서울지역에서만 실시할 예정이며,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은 5월 27일이다. 그리고 면접시험(8월 4일 ~ 8월 13일)을 거쳐 최종합격자 8월 26일에 발표한다.
2021년도 각 지방교육청 지방공무원 채용 공고가 지난 2일 일제히 발표돼 수험생들의 긴장도 한층 더해졌다. 전국 17개 지방교육청 채용공고를 분석한 결과, 우선 올해 교육청 9급 공채 지방공무원의 선발 규모가 작년보다 크게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교육행정(일반)분야의 선발예정인원은 2,286명으로 지난해(2,882명)보다 20.68%p(596명)로 크게 떨어졌다. 교육행정(일반)분야 채용인원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도가 532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서울 260명, 전남 252명, 경북 220명, 전북 212명, 충남 145명, 부산 137명, 경남 103명 등으로 세자리 수의 많은 인원을 선발하고, 광주가 8명으로 가장 적게 선발한다. 응시원서 접수기간(4. 19. ~ 4. 23.)과 필기시험일(6. 5.)은 전국이 동일하며, 필기합격 발표일 및 면접시험, 최종합격 발표일은 각 지방교육청 별로 다르므로 응시자들은 각 지방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이 가장 빠른 지역은 세종특별시로 6. 29.(화)이며, 서울이 7. 14.(수)로 가장 늦다. 면접시험을 거쳐 최종합격자 발표는…
경상남도교육청은 2021년도 신규 지방공무원 선발규모를 245명으로 확정하고, ‘2021년도 경상남도교육청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을 3월 2일 공고했다. 공개경쟁에는 총 186명을 선발하며, 직렬별로 ▲교육행정 121명(일반 103명 ,장애 16명, 저소득층 2명) ▲전산 3명 ▲사서 12명(일반 11명, 장애 1명) ▲공업(일반기계) 2명 ▲공업(일반전기) 3명 ▲보건 2명 ▲식품위생 3명 ▲시설(일반토목) 2명 ▲시설(건축) 9명 ▲조리 28명(일반 18명, 유공자 8명, 저소득층 2명) ▲기록연구 1명 등이 포함되어 있다. 경력경쟁으로는 59명을 선발하며, 직렬별로 ▲공업(일반기계) 1명 ▲공업(일반전기) 1명 ▲시설(일반토목) 1명 ▲시설(건축) 4명 ▲운전 25명(일반 19명, 유공자 4명, 저소득층 2명) ▲조리 12명 ▲시설관리 15명(일반 12명, 유공자 2명, 저소득층 1명)이다. 이 가운데 경력경쟁시험의 공업(일반기계, 일반전기), 시설(일반토목, 건축) 직렬(직류)은 경상남도 소재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 졸업(예정)자로서 해당 학교장의 추천이 있어야 응시할 수 있다. 응시원서 접수기간은 4월 19일부터 4월 23일까지 5
경상북도교육청은 ‘2021년도 경상북도교육청 지방공무원 9급 공개(경력)경쟁임용시험 계획’을 공고했다. 올해 신규 지방공무원에는 총 374명을 선발할 예정이며, 공개경쟁 321명, 경력갱쟁 53명이며, 직급별로는 ▲9급 364명▲8급 2명 ▲연구사 8명이다. 공개경쟁에서는 ▲교육행정 254명 ▲전산 10명 ▲사서 18명 ▲공업(일반전기) 1명 ▲간호 2명 ▲시설(건축) 5명 ▲조리 23명 ▲기록연구 8명이 있다. 경력경쟁에서는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선발하는 ▲시설(건축) 5명 ▲공업(일반기계) 1명 ▲공업(일반전기) 1명을 포함해 ▲조리 5명 ▲운전 21명 ▲시설관리 20명이 선발된다. 필기시험 원서는 4월 19일(월)부터 4월 23일(금)까지 5일간 인터넷으로 접수하며, 필기시험은 6월 5일(토) 전국적으로 동시에 치러질 예정이다. 이후 필기시험 합격자는 7월 5일(월)에 발표하며, 7월 23일(금)에 면접시험을 거쳐, 8월 2일(월)에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9급 경력경쟁(조리, 운전, 시설관리) 직렬서류전형합격자 발표일은 4월 8일(목)이다.
부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김석준)은 신규 지방공무원 선발규모를 185명으로 확정하고, ‘2021년도 부산광역시교육청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을 3월 2일 공고했다. 직렬별로는 교육행정직 154명(일반 137명, 장애 13명, 저소득층 4명)과 전산직 5명, 사서직 16명, 공업직(일반전기) 1명, 보건직 1명, 시설직(일반토목) 2명, 시설직(건축) 6명 등이다. 이 가운데 시설직 일반토목 1명과 시설직 건축 3명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함)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경력경쟁임용시험으로 선발한다. 또, 사회적 약자의 공직진출 기회를 확대·보장하기 위해 장애인 구분 모집 선발 인원을 법정 의무고용비율(3.4%)의 2배 수준인 13명(6.8%)을 선발하며, 이는 지난 2020년 9명보다 4명 늘어난 것이다. 원서는 오는 4월 19일부터 23일까지 온라인으로 접수한다. 6월 5일 필기시험과 7월 17일 면접시험을 거쳐 7월 26일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경기도교츅청(교육감 이재정)은 올해 지방공무원에 총 89명을 선발한다고 발표했다. 공개경쟁으로 ▲교육행정 58명 ▲사서 12명 ▲전산 3명 ▲공업(일반기계) 3명 ▲공업(일반전기) 2명 ▲식품위생 3명 ▲시설(일반토목) 1명 ▲시설(건축) 2명 등 85명을 선발하고, 경력경쟁으로 ▲공업(일반기계) 2명 ▲공업(일반전기) 2명 ▲시설(건축) 1명 등 5명을 선발한다. 원서접수기간은 4월 19일부터 23일까지며, 필기시험은 6월 5일에, 면접시험은 7월 23일에 실시해 최종합격자는 8월 2일에 발표한다.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올해 지방공무원 선발인원을 728명으로 확정하고 공개(경력) 임용시험 계획을 2일 발표했다. 공개경쟁으로 경기 남부와 북부를 포함해 ▲교육행정 600명(남부일반 369명, 남부장애인 39명, 남부저소득 12명, 북부일반 163명, 북부장애인 13명, 북부저소득 4명), ▲사서 10명, ▲전산 6명, ▲공업(일반기계) 6명, ▲공업(일반전기) 8명, ▲보건 25명, ▲식품위생 11명, ▲시설(일반토목) 3명, ▲시설(건축) 26명, ▲기록연구(기록관리) 1명 등 696명을 선발한다. 경력경쟁으로 경기도 소재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공업(일반기계) 4명, ▲공업(일반전기) 7명, ▲시설(일반토목) 2명, ▲시설(건축) 19명 등 32명을 선발한다. 원서접수는 4월 19일부터 23일까지 경기도교육청 나이스 교직원 온라인채용에서 할 수 있으며, 필기시험은 6월 5일에, 면접시험은 7월 31일에 실시해 최종합격자는 8월 18일에 발표한다.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장석웅)이 2일 ‘2021년도 제1회 전라남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개(경력)경쟁임용시험 시행계획’을 공고했다. 선발예정인원은 교육행정 275명 등 총 10개 직렬 452명이다. 코로나19 시대에 대응하고자 감염병 예방 전담인력으로 보건 직렬 18명 선발하고, 그린스마트미래학교와 학교 공간혁신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시설(건축) 직렬을 33명 공개경쟁임용시험으로 채용한다. 또한, 지방공무원 결원해소 및 도서지역 학교 지원을 위한 시설관리 직렬을 지역구분 모집을 통해 2007년 이후 14년 만에 10명을 선발한다. 이번,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별로 같은 날 치러지며, 응시원서는 4월 19일(월)부터 4월 23일(금)까지 ‘온라인 채용시스템’을 통해 인터넷 접수한다. 필기시험은 6월 5일(토), 면접시험은 7월 1일(목) 실시되며, 최종합격자는 7월 9일(금) 발표할 예정이다.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력경쟁 임용시험은 전남도내 고등학교 졸업생에 대한 취업기회 확대에 기여하고, 우수한 인재들을 채용하기 위해 3월 중 별도 공고할 예정이다. 한편, 올해부터 연구직․지도직 공개경쟁임용시험의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은 ‘2021년도 서울특별시교육청 지방공무원 9급 공개(경력)경쟁임용시험 계획’을 3월 2일(화) 누리집을 통해 공고했다. 올해 지방공무원(고졸자 대상 경력경쟁 선발인원 제외) 414명을 신규채용할 예정이며, 이는 전년도 523명 선발 규모 대비 109명(20%) 감소한 수준이다. 올해 신규 공무원 채용인원은 △공개경쟁 364명 △경력경쟁 50명이며, 분야별로 △행정직군 335명(교육행정 290명, 전산 12명, 사서 33명) △기술직군 79명(공업 3명, 시설 5명, 보건 21명, 시설관리 50명)이다. 사회적약자의 공직 진출 기회를 확대·보장하기 위하여 장애인을 총 선발 예정 인원의 7% 이상(31명), 한부모가족 보호대상자를 포함한 저소득층을 2% 이상(10명) 각각 구분하여 모집한다. 2020년에 이어 올해도 학교시설관리 업무부담 완화 및 학교현장 지원강화를 위한 시설관리직렬을 선발한다. 또한 국가유공자 등의 헌신과 예우에 보답하고 사회진출의 기회 확대를 위해 시설관리직렬 선발인원 중 일부를 국가유공자(보훈청 추천) 대상 특별채용할 예정이다. 이번 공고문에 포함되지 않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예정)자 대상 기술직군 선
6월 5일(토)에 전국이 동시 시행하는 지방공무원 9급 공개채용 임용시험의 원서접수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올해부터는 동일 날짜에 시행하는 임용시험에는 중복 또는 복수로 원서를 접수할 수 없어, 예년과 달리 필기시험 응시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거주지 제한이 없는 서울은 지난해 9급 공채 응시율이 47.3%에 그쳐, 실제 응시율은 원서접수 경쟁률의 절반 이상 떨어졌진 바 있다. (지난해 서울시 제1·2회 공채(경채)임용시험 응시원서 접수인원 49,818명, 필기시험 응시인원 23,576명) 따라서 올해는 서울과 실제 거주지 지역에 중복 지원 후 원서접수 경쟁률에 따라 실제 필기시험 지역을 선택하는 이른바 ‘눈치싸움’도 할 수 없다. 하지만 서울과 거주 지역을 모두 염두하고 있는 수험생들은 어느 곳에 원서를 접수할지에 대한 또 다른 ‘고민’에 빠졌다. 특히 응시원서 접수기간(3. 29.~4. 2.)이 동일한 16개 지자체와 달리 서울의 접수기간(3. 2.~3. 5.)은 한달 가량 먼저 시작해 서울시에 응시원서를 접수하게 되면 자신의 거주지역에는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보통 응시원서 접수기간 마감일(3.5.)에 공개하는 (잠정)경쟁률과 원서접수 취
오는 4월 17일에 시행되는 2021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시험의 원서접수가 2월 21일 09:00부터 진행돼, 공무원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본격 레이스가 시작됐다. 국가공무원 9급 공채시험의 선발인원은 5,322명(행정직 4,611명, 기술직 711명)으로 작년(4,985명)보다 337명 증원되었지만, 취업시장에서 공무원의 인기가 높아져 올해 원서접수 경쟁률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작년 국가직 9급 공채에서는 4,985명 선발에 총 185,203명이 출원하여, 평균 경쟁률 37.2대 1을 기록했고, 이중 53,968명이 결시해 실제 경쟁률은 26.3대 1로 떨어진 바 있다. 한편, 응시하고자 하는 수험생은 원서접수 마감시간인 2월 24일(수) 21:00 전까지 응시수수료를 납부하여야 하며, 접수증은 원서접수 취소기간 종료시점인 2월 27일(토) 18:00 부터 출력할 수 있다. 또 올해 원서접수 경쟁률은 원서접수 취소마감일인 27일(토) 18시 이후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법원행정처는 오는 27일(토)에 시행되는 2021년도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의 변경된 채용 인원을 확정 발표했다. 당초 공고된 146명 내외에서 171명 늘어난 총 317명을 선발하며, 법원사무직(일반)이 기존 124명에서 269명으로 가장 많은 규모로 증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등기사무직렬(일반)도 9명에서 20명으로, 장애인 및 저소득층 구분모집도 각각 소폭 증가했다. 선발예정인원이 두배 이상 증원됨에 따라 응시원서 접수결과에 따른 경쟁률은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법원사무직렬(일반)은 269명 선발에 6,468명이 지원해 약 24대 1의 경쟁률로 기존(52.2대 1)보다 크게 낮아졌고, 등기사무직렬(일반)은 20명 선발에 571명이 지원하여 28.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한편 지난해 최종합격자 관련 통계를 살펴보면, 최종합격자 238명(초과합격 13명) 중 여성합격자는 148명으로 62.2%를 차지했다. 또 연령별로 20대가 81.5%로 가장 많았고, 30대 14.3%, 40대 3.8%, 20세 이하 0.4%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