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흐림파주 23.1℃
  • 흐림강릉 24.1℃
  • 서울 26.0℃
  • 인천 24.6℃
  • 수원 24.5℃
  • 대전 24.1℃
  • 대구 24.0℃
  • 울산 23.2℃
  • 광주 22.3℃
  • 부산 22.6℃
  • 흐림제주 24.4℃
기상청 제공

경찰 수사의 핵심 인력, 수사경력자 비율 증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본부장 우종수)는 신임수사관 비율 감소, 수사경력자 비율 증가 등 수사 부서 인력 구조가 전체적으로 안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반적으로 수사 부서 장기 근무자도 늘고 있다고 밝혔다.

 

먼저, ’22년 대비 수사경력이 1년 미만인 신임수사관 비율이 대폭 감소하였고, 수사 부서에 근무하는 수사 경과자 비율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등 수사 현장이 안정화되고 있다. ’24년 상반기 수사 부서 인사 결과에 따르면, 신임수사관 비율은 ’2219.9%에서 ’2412.98%6.92%P가 감소하였고, 수사 부서에서 근무하는 수사 경과자 비율도 ’2277.9%에서 ’2480%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22년 대비 평균 수사경력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평균 수사경력 또한, ’227.4년에서 ’237.5, ’248.1년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부서별 평균 수사경력도 전체적으로 증가하였다. 여성·청소년 대상 범죄를 다루며, 특히 최근 사회적 쟁점이 되는 스토킹 범죄, 데이트폭력을 처리하는 여성청소년수사팀의 경우에는 ’226.9년에서 ’247.8년으로 늘었으며, 국민에게 재산적 피해를 입히는 유사수신, 전세사기 등 인지사건을 주로 처리하는 지능범죄수사팀도 ’227.4년에서 ’248.6년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22~’24년 수사 부서별 평균 수사경력 현황>

구 분

평균

통합수사

경제

지능

사이버

형사

강력

여청

교통

2022

7.5

-

6.0

7.4

5.2

9.1

9.9

6.9

6.7

2023

7.8

6.5

6.1

7.9

5.5

9.2

10.2

7.5

7.2

2024()

8.1

6.7

-

8.6

-

9.3

10.2

7.8

7.4

통합수사팀은 ’23년부터 시범운영을 실시했고, ’24년에는 경제·사이버·통합수사팀을 통합수사팀으로 전체 통합

 

국가수사본부의 수사체계가 팀장 중심 수사체계로 전환됨에 따라 사건처리 기간이 ’22374.3일에서 ’2461.4일로 대폭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이끈 핵심 요인은 팀장의 수사경력·역량으로, 수사 부서 팀장의 평균 수사경력도 ’2214.6년에서 ’2316.7, ’2417.7년으로 함께 증가하여 사건처리 기간 단축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국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최일선 경찰서 수사 부서 현황을 살펴보면, 경찰서에 근무하는 수사경력자 비율도 지속해서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수사 부서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수사 베테랑의 비율이 ’22년에는 29.7%에서 ’2432.2%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국가수사본부는 경력과 역량에 따라 수사관 자격등급을 부여하는 수사경찰 인사제도인 수사관 자격관리제’(예비수사관, 일반수사관, 전임수사관, 책임수사관 순)를 대폭 개선하고 수사관 자격관리제 최고 등급인 책임수사관을 점진적으로 확대 선발하여, 5년 뒤에는 과·팀장의 20%1,200명을 책임수사관으로 배치하는 등 수사부서 근무자의 장기 근무를 유도하기 위해 수사 제도를 지속해서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국가수사본부는 수사 부서에 다양한 혜택과 인력, 예산 등 기반을 확충하고, 수사관 자격관리제를 확대·개편하는 등 수사 베테랑을 비롯하여 수사 부서 근무자가 장기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이 더욱 더 양질의 수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
올해는 반드시 합격하자!!
수험뉴스 칼럼(제5회) 올해는 반드시 합격하자!! 2022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긴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1년이라는 시간의 단위가 생긴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아마 지나간 해를 돌아보고 잘한 것들은 더욱 발전시키고, 잘못한 것들은 고쳐 더 나은 방법을 찾으라는 뜻이 아닐까 합니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누구나 실수를 합니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처음 공부를 시작할 때에 자신이 가진 지나친 열정으로 공부방법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고 무작정 학원에서 정해준 커리큘럼만 따라가다 진정 중요한 공부방법을 깨우치지 못한다든가, 시간이 가면서 자신이 점점 더 나태해져서 해야 하는 공부임에도 불구하고 게으름을 피운다든가 하는 등의 수많은 실수를 합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러한 실수가 아닙니다. 오히려 자신의 부족함을 반성하지 못하고 수정하지 못하는 모습이 아닐까 합니다. 수험생활은 굉장히 고독하고 외로운 과정입니다. 그 이유는 끊임없는 자신과 싸움의 연속이 곧 수험생활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과정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계속되는 우리에게 주어진 숙명과도 같은 일입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수험생활을 하면서 스스로를 다독이고 채찍질하며 자신을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