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2 (토)

  • 맑음파주 15.0℃
  • 맑음강릉 22.9℃
  • 맑음서울 17.0℃
  • 맑음인천 12.1℃
  • 맑음수원 16.9℃
  • 맑음대전 18.7℃
  • 맑음대구 23.3℃
  • 맑음울산 23.5℃
  • 맑음광주 19.1℃
  • 맑음부산 19.4℃
  • 맑음제주 20.5℃
기상청 제공

9급·7급·5급공무원

A·I 도입되면 국가공무원 1/4 대체 가능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미래의 신기술이 도입되면 중앙직 국가공무원 25%의 업무가 대체될 수 있을 것으로 나왔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박재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미래 신기술 도입에 따른 정부인력 운용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미래 신기술 도입에 따른 자동화가 행정안전부 등 18개 부처 본부 인력 12,000(20199월 기준) 가운데 3,006(25%)을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부처별로 행안부(286)가 가장 많았고, 외교부(263), 기획재정부(255), 국토부(254) 가 뒤를 이었다.

 

업무별로는 서무, 민원 및 회계와 조직 내 행정운영 업무가 대체 가능성이 높게 나왔으며, 정책·제도 기획 관리, 법률안 재개정 관리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자동화 가능 시기는 평가 분석 업무의 경우 전체 기능의 50%10년 이내, 행정운영 기능은 38%6-10년 이내 대체 가능할 것으로 도출했고, 5년 이내 공무원 인력 대체를 위한 신기술이 상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박재호 의원은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조직 간, 기능 간 재배치가 아니라 신기술을 대체 할 수 있는 분야와 인력이 추가로 요구되는 분야를 미리 예측해 미래 정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변화와 혁신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