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구름조금파주 13.7℃
  • 구름많음강릉 16.8℃
  • 구름많음서울 15.7℃
  • 구름많음인천 14.1℃
  • 구름조금수원 15.1℃
  • 맑음대전 16.1℃
  • 맑음대구 17.0℃
  • 맑음울산 15.6℃
  • 구름조금광주 15.0℃
  • 구름조금부산 13.6℃
  • 구름많음제주 14.4℃
기상청 제공

9급·7급·5급공무원

2025년 제1회 서울시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평균 경쟁률 12.7:1

이민우

2025년 제1회 서울시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평균 경쟁률 12.7:1

 

서울시는 324()부터 328()까지 진행한 ‘2025년 제1회 서울시 지방공무원 임용시험21,174(1,670명 선발)이 접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채용 시험은 28개 직렬 64개 모집단위로, 분야별 경쟁률은 행정직군 14.4:1 기술직군 9.9:1 국가 유공자 등 취업지원대상 1.9:1로 나타났다.

 

모집단위별 접수 인원과 경쟁률을 보면, 가장 모집인원이 많은 일반행정 9(666)에는 10,118명이 지원해 15.2: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방호(지방의회) 9급은 1명 모집에 241명이 지원해 241.0:1의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한편, 일반토목(장애인) 9급의 경우 12명 모집에 3명이 지원해 가장 낮은 0.3: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응시자 현황을 살펴보면, 지역별로 서울 13,421(63.4%) 경기 4,140(19.6%) 인천 450(2.1%), 기타지역 3,163(14.9%)으로 수도권 지역 응시생이 85.1%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208,861(41.8%), 308,521(40.3%)으로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403,092(14.6%), 50대 이상 601(2.8%), 1099(0.5%) 순이다.

 

또한, 성별 구성은 남자가 8,946(42.2%), 여자가 12,228(57.8%)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제1회 서울시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은 621()에 서울시 내 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될 예정이며, 구체적인 시험장소는 65()에 지방자치단체 인터넷원서접수센터(http://local.gosi.go.kr) 통해 공고된다.

 

필기시험 합격자는 724() 발표되며, 825()~912() 면접시험을 거쳐 926()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다.

 

백일헌 서울시 인재개발원장은 동행·매력 특별시 서울을 견인할 전문성과 인성을 겸비한 역량있는 우수한 인재들이 채용될 수 있도록 공정한 시험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모집단위별 원서접수 현황 및 경쟁률

구분

모집단위

선발예정

인원()

접수인원()

경쟁률(%)

직렬

직류

직급

총 계

1,670

21,174

12.7

 

행정직군 소계

1,086

15,630

14.4

공개

경쟁

행정

일반행정

9

666

10,118

15.2

일반행정(지방의회)

9

22

306

13.9

일반행정(장애인)

9

41

257

6.3

일반행정(저소득층)

9

81

397

4.9

세무

지방세

9

98

2,074

21.2

지방세(장애인)

9

6

23

3.8

지방세(저소득층)

9

12

72

6.0

사회

복지

사회복지

9

121

1,542

12.7

사회복지(장애인)

9

8

47

5.9

사회복지(저소득층)

9

14

104

7.4

사서

사서

9

13

402

30.9

속기

속기(지방의회)

9

3

47

15.7

방호

방호(지방의회)

9

1

241

241.0

 

기술직군 소계

554

5,487

9.9

공개

경쟁

 

 

공업

일반기계

9

15

135

9.0

일반기계(장애인)

9

2

3

1.5

일반기계(저소득층)

9

2

6

3.0

일반전기

9

21

193

9.2

일반전기(장애인)

9

2

6

3.0

일반전기(저소득층)

9

3

8

2.7

일반화공

9

7

106

15.1

농업

일반농업

9

2

67

33.5

축산

9

3

27

9.0

축산(저소득층)

9

1

4

4.0

녹지

산림자원

9

13

136

10.5

산림자원(장애인)

9

3

5

1.7

산림자원(저소득층)

9

3

8

2.7

조경

9

13

161

12.4

조경(장애인)

9

3

3

1.0

조경(저소득층)

9

3

8

2.7

보건

보건

9

3

308

102.7

보건(저소득층)

9

1

10

10.0

간호

간호

8

89

885

9.9

환경

일반환경

9

3

95

31.7

시설

일반토목

9

114

621

5.4

일반토목(장애인)

9

12

3

0.3

일반토목(저소득층)

9

13

9

0.7

건축

9

52

430

8.3

건축(장애인)

9

4

11

2.8

건축(저소득층)

9

6

10

1.7

지적

9

16

165

10.3

지적(장애인)

9

2

2

1.0

지적(저소득층)

9

2

0

0.0

공개

경쟁

방재안전

방재안전

9

9

76

8.4

방재안전(저소득층)

9

1

0

0.0

방송통신

통신기술

9

6

136

22.7

통신기술(장애인)

9

1

4

4.0

통신기술(저소득층)

9

1

4

4.0

시설관리

기계시설

9

28

404

14.4

기계시설(장애인)

9

3

21

7.0

기계시설(저소득층)

9

4

27

6.8

전기시설

9

31

310

10.0

전기시설(장애인)

9

3

5

1.7

전기시설(저소득층)

9

4

13

3.3

경력

경쟁

의료기술

의료기술(임상병리)

9

3

179

59.7

의료기술(방사선)

9

1

70

70.0

의료기술(물리치료)

9

2

128

64.0

운전

운전

9

40

661

16.5

운전(지방의회)

9

4

24

6.0

 

보훈부 추천

30

57

1.9

경력

경쟁

방호

방호(보훈부 추천)

9

1

5

5.0

방호(지방의회)

(보훈부 추천)

9

1

5

5.0

시설관리

시설관리(보훈부 추천)

9

4

19

4.8

기계시설(보훈부 추천)

9

7

10

1.4

전기시설(보훈부 추천)

9

7

9

1.3

운전

운전(보훈부 추천)

9

10

9

0.9


관련기사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