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8 (수)

  • 맑음파주 23.5℃
  • 구름많음강릉 23.2℃
  • 맑음서울 25.4℃
  • 맑음인천 26.0℃
  • 맑음수원 25.4℃
  • 맑음대전 25.7℃
  • 흐림대구 25.1℃
  • 구름많음울산 25.0℃
  • 맑음광주 25.1℃
  • 흐림부산 26.1℃
  • 흐림제주 27.6℃
기상청 제공

9급·7급·5급공무원

행안부, 로봇으로 업무자동화 구현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화와 인적 자원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 공공분야에 로봇 업무자동화 솔루션인 RPA를 시범적으로 도입된다.

 

Robotic Process Automation(RPA)는 인간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를 알고리즘화하고 Software로 자동화하는 기술로 인간작업을 모사하는 소프트웨어 로봇이다.

 

RPA를 통해 기존에 사람이 직접 수행하던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에 대해 지능형 로봇 프로세스를 활용해 자동화하면, 업무시간 단축과 업무만족도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부내 RPA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선정된 과제를 민간기업(삼성SDS)과 협력하여주요 정보시스템 자동점검, 부내직원 상시학습 등록 자동화,특근매식비 자동산출시스템을 개발했다.

 

먼저, 주요 정보시스템 자동점검과제는 정보시스템(행정안전부 홈페이지, 업무시스템)을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점검하는 것으로, 점검시간 감축 및 장애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부내직원 상시학습 등록 자동화과제는 각 교육기관에서 통보되는 매주 약 3천건 정도의 수료자 명단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취합하는 것으로, 교육훈련 담당자의 업무부담을 줄이고, 상시학습 등록 지연 불만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특근매식비 자동산출과제는 초과근무 현황을 분석하여 특근매식비 사용이 가능한 날짜 및 금액을 자동 계산하는 것으로, 부서 서무들의 단순반복업무를 자동화함과 동시에 휴먼에러를 감소시켜 회계 투명성 제고가 기대된다.

 

앞으로도 행정안전부는 공공분야에 RPA를 도입확산시키기 위해 범부처 RPA 도입을 위한 컨설팅을 실시하고, 과제발굴 경진대회 개최 및 발굴된 과제를 공유활용하며, 사용자 매뉴얼 제작배부하고 지속적으로 교육홍보도 해 나갈 계획이다.

 

조상명 행정안전부 정부혁신기획관은 단순반복 업무에 RPA 도입이 확대되면 고부가가치 업무에 인력을 투입할 수 있어 행정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RPA가 다른 중앙부처와 지자체에도 도입확산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