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3 (일)

  • 흐림파주 21.7℃
  • 흐림강릉 21.2℃
  • 흐림서울 22.6℃
  • 흐림인천 22.4℃
  • 수원 21.6℃
  • 대전 22.4℃
  • 박무대구 23.8℃
  • 박무울산 22.5℃
  • 흐림광주 22.2℃
  • 부산 23.3℃
  • 제주 23.3℃
기상청 제공

9급·7급·5급공무원

2024년도 8·9급 경기도 공채 원서접수 현황

 

 구분

직렬명

선별

예정인원()

접수인원()

경쟁률

총합계

2,381

21,950

9.2 : 1

1

간호8(간호)

38

661

17.4 : 1

2

간호8(간호)(장애인)

2

4

2 : 1

3

보건진료8(보건진료)

12

196

16.3 : 1

4

보건진료8(보건진료)(장애인)

1

0

-

5

행정9(일반행정)

675

10,352

15.3 : 1

6

행정9(일반행정)(장애인)

141

302

2.1 : 1

7

행정9(일반행정)(저소득층)

60

225

3.8 : 1

8

세무9(지방세)

80

1,535

19.2 : 1

9

세무9(지방세)(장애인)

20

8

0.4 : 1

10

세무9(지방세)(저소득층)

6

25

4.2 : 1

11

전산9(전산)

34

615

18.1 : 1

12

전산9(전산)(장애인)

8

18

2.3 : 1

13

사회복지9(사회복지)

184

2,414

13.1 : 1

14

사회복지9(사회복지)(장애인)

58

88

1.5 : 1

15

사회복지9(사회복지)(저소득층)

18

35

1.9 : 1

16

사서9(사서)

41

603

14.7 : 1

17

사서9(사서)(장애인)

16

11

0.7 : 1

18

속기9(속기)

2

8

4 : 1

19

공업9(일반기계)

64

283

4.4 : 1

20

공업9(일반기계)(장애인)

3

0

-

21

공업9(일반전기)

66

369

5.6 : 1

22

공업9(일반화공)

20

92

4.6 : 1

23

농업9(일반농업)

45

309

6.9 : 1

24

농업9(일반농업)(장애인)

1

3

3 : 1

25

농업9(축산)

23

133

5.8 : 1

26

녹지9(산림자원)

39

188

4.8 : 1

27

녹지9(산림자원)(장애인)

1

0

-

28

녹지9(조경)

32

140

4.4 : 1

29

해양수산9(일반수산)

9

51

5.7 : 1

30

보건9(보건)

37

710

19.2 : 1

31

보건9(보건)(장애인)

4

8

2 : 1

32

보건9(보건)(저소득층)

1

2

2 : 1

33

환경9(일반환경)

50

304

6.1 : 1

34

시설9(도시계획)

17

83

4.9 : 1

35

시설9(도시계획)(장애인)

1

0

-

36

시설9(일반토목)

320

942

2.9 : 1

37

시설9(일반토목)(장애인)

7

0

-

38

시설9(일반토목)(저소득층)

2

1

0.5 : 1

39

시설9(수도토목)

2

0

-

40

시설9(건축)

137

530

3.9 : 1

41

시설9(건축)(장애인)

4

1

0.3 : 1

42

시설9(지적)

33

317

9.6 : 1

43

시설9(지적)(장애인)

2

1

0.5 : 1

44

시설9(디자인)

2

50

25 : 1

45

방재안전9(방재안전)

39

139

3.6 : 1

46

방재안전9(방재안전)(저소득층)

1

1

1 : 1

47

방송통신9(통신기술)

23

193

8.4 : 1


관련기사


기획

더보기

OPINION

더보기
올해는 반드시 합격하자!!
수험뉴스 칼럼(제5회) 올해는 반드시 합격하자!! 2022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긴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1년이라는 시간의 단위가 생긴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아마 지나간 해를 돌아보고 잘한 것들은 더욱 발전시키고, 잘못한 것들은 고쳐 더 나은 방법을 찾으라는 뜻이 아닐까 합니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누구나 실수를 합니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처음 공부를 시작할 때에 자신이 가진 지나친 열정으로 공부방법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고 무작정 학원에서 정해준 커리큘럼만 따라가다 진정 중요한 공부방법을 깨우치지 못한다든가, 시간이 가면서 자신이 점점 더 나태해져서 해야 하는 공부임에도 불구하고 게으름을 피운다든가 하는 등의 수많은 실수를 합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러한 실수가 아닙니다. 오히려 자신의 부족함을 반성하지 못하고 수정하지 못하는 모습이 아닐까 합니다. 수험생활은 굉장히 고독하고 외로운 과정입니다. 그 이유는 끊임없는 자신과 싸움의 연속이 곧 수험생활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과정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계속되는 우리에게 주어진 숙명과도 같은 일입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수험생활을 하면서 스스로를 다독이고 채찍질하며 자신을 만